brunch

연재 중 결혼 18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나순이 Jul 10. 2024

혼주, 결혼식의 주인공

만약 예식장 비용도 모두 내가 냈다고 친다면, 예식장 대관료, 예식 도우미 비용을 신랑 신부가 반씩 낼 수 있게 나누고 거기에 신부 측 식대를 합한 금액 3,075,000원에, 남편과 함께 쓴 결혼식 비용을 절반으로 나눈 금액 3,181,700원을 더하면 총 6,256,700원의 비용이 나오는데, 이 금액을 축의금으로 충당하더라도 오히려 남는 장사겠다.


물론 이 돈은 그동안 부모님이 뿌린 축의금이며 또 사람들을 초대하기 위해 연락을 취하고 식사 대접을 하고 또 식이 끝나고도 결혼식장에 찾아온 사람들에게 일일이 답례를 하는 등 부단한 노력을 들였을 테니, 단순한 금액 계산법이 전혀 맞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왜 결혼식을 할 때 부모님들을 가리켜 혼주라고 하는지 직접 결혼을 해보니 알 것 같았다. 결혼식의 주인공은 신랑 신부인 줄 알았는데, 결혼식에 찾아온 손님들도, 축의금을 보낸 사람들도 사실 모두 부모님 얼굴 보고 찾아온 게 아니던가.


그리고 앞서 얘기했듯이 내 앞으로 두 사람 분의 축의금이 들어왔는데, 처음에는 이 돈을 모르고 그냥 지나칠 뻔했다. 부모님이 축의금 명부를 가지고 갔는데 내가 볼 수 있게 달라고 하니까 '이거 다 우리 손님인데 이걸 주면 어떡해' 라며 명부를 보여주지 않았다. 여기서 말하는 우리에서 나는 제외인가 보다.


아무튼 처음에는 이건 내 결혼식인데 저 명부는 내가 가져가는 게 맞는데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야 싶었지만, 하긴 그만큼 내가 하객을 부르는데 별 다른 힘을 쓰지도 않았고, 부모님의 손님 만으로도 하객수가 충분하겠지 싶어서 손을 놓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축의금을 낸 사람은 대부분 부모님 손님들 일 테니 저런 반응이 이해가 갔다. 또 부모가 자식의 결혼식을 본인들의 과제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역시 괜히 혼주라고 부르는 게 아니었다.


명부는 사진으로라도 찍어서 보내달라고 해서 뒤늦게 받아보니 저 두 사람의 이름이 있었다. 결혼식이 끝나고 답례 문자를 보내는 게 예의라고 남편이 알려줘서 조금 늦었지만 적당한 문구를 작성해서 발신했다.


결혼 준비 과정에서 부모님의 개입은 거의 없었지만, 막상 결혼식이 끝나고 돌이켜보니 부모님이 계신 덕분에 이 결혼을 잘 성사할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남편은 나와 다르게 남편 지인들을 결혼식에 초대하느라 노력했다.

이전 17화 신혼여행비와 축의금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