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성과 인생, 열매 인생: (1) 사람

'자판기'가 아니라 '나무'

by sung Aug 09. 2023

얼마 전 생일이었다. 마흔이 넘으면서 생일이 기쁘지 않다. 다소 부담스러운 날이다. 흰머리가 더 늘어나고 뱃살이 더 처지리라 경고하는 날인 듯싶다.


근데 애들이 선물로 모자를 사주겠다고 한다. "어 그래..." 며칠 후 비 오는 날 우르르 몰에 갔다. 나의 10년 넘은 최애 야구 모자가 넘 흉했나 보다. 짙푸른 라지사이즈를 함께 골랐고  아이들 사인을 안쪽에 받았다. 모자를 보고 쓸 때마다 뿌듯하다.


얼마 전 반가운 이메일을 졸업생에게  받았다. 해외 파견을 끝냈고 유학을 앞두고 있는데 찾아오겠다는 것이다. 장학 재단 면접을 앞둔 터라 이런저런 잔소리를 늘어놓고 함께 교내 식당으로 향했다. 졸업 후 생긴 식당 밥이 넘 맛있다는  옛 제자의 웃음 섞인 푸념을 듣고 함께 웃었다.


자식이든 제자든 인생의 열매이다. 기저귀를 수백, 수천 개를 갈 때 모자 선물을 기대하지 않았다. 학생들 매시간 눈을 마주하고 틈틈이 면담을 할 때 졸업 후 연락이 올 줄 몰랐다. 수년이 지나서야 그 관계의 열매가 나의 시간을 뿌듯하게 한다.


우린 자판기 인생살이에 익숙하다. 적어도 20세기와 21세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인생의 목표(제로 콜라)를 정하고 노력과 재능(1000원)을 투입하면 나의 갈증을 해결할 수 있다 배운다. 그게 뜻대로 안 되면 헬조선(고장난 자판기)을 찰지게 욕하거나 못난 자신(불량 지폐)을 한없이 탓한다.


그런데 인생이 자판기와 같던가? 투입 대비 산출이 바로 나타나던가? 나의 애쓴 하루가 기쁜 내일을 보장하던가? 경우에 따라 다르다. 맘 잡고 한 학기 공부하더니 다음 학기 성적이 수직상승한 학생이 있는가 하면, 속 썩이는 자식을 두고 수년 동안 애쓰지만 여전히 속상하기만 한 부모도 있다.


더구나 단시간 확보한 성과는 오래가지 않는다. 빨리 내 맘을 달래고 떠난다. 오래 걸린 열매는 그만큼 머물며 동행한다. 그러기에 열매의 대다수는 관계이다. 부부, 가족, 친구, 이웃, 동료, 사제, ... 그 열매가 진정 우리 갈증을 해소하지 아니하던가.  나무 인생은 앞으로 마주할 열매를 생각한다. 언제 어떤 열매가 매달릴지 모르지만 불안하지 않다. 기대할 뿐이다.


이전 03화 '내 탓'도 '남 탓'도 아닌 경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