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 17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띠노링 Jul 07. 2022

우황청심원과 천왕보심단

사향/영묘향, 원방/변방 뭐가 다르지..?

약국에서 불안, 두근거림 등에 진정할 수 있는 약을 달라고 했을 때 권해드릴 수 있는 대표적인 두 약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천왕보심단은 몰라도 우황청심원은 한 번씩 드셔보신 경험이 있을 것 같다.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제품들 기준으로 우황청심원은 약재가 25가지 내외, 천왕보심단은 1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장에서는 한약제제의 이름으로 어떠한 약인지 파악할 수 있는 팁(?)을 소개드리고자 한다.

한약제제 이름의 구성 원리는 크게 다음과 같다.


주요 약재명 :  반하후박탕 - 반하와 후박을 포함

주요 약재명 + 작용원리 : 반하사심탕 - 반하를 포함하며 심화(心火)를 제거(瀉)

약재 수 + 약재명(작용원리) : 십전대보탕 - 10가지 약재로 구성되며 크게 보함(補)

작용원리 : 보중익기탕 - 중초를 보하며 기를 보충(益)    


모든 처방명이 이러한 구성원리를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크게 이러한 원리를 따른다.

(천왕보심단부터 이러한 원리에 반례긴 하다..)

그렇다면 우황청심원과 천왕보심단의 이름을 풀이해보자.


우황청심원은 우황을 포함하며 심(心)을 청(靑)하는 약이되고,

천왕보심단은 '천왕'이라는 뜻은 없지만 심(心)을 보(補)하는 약이 된다.

(옛날에 천왕이 꿈에 나타나 알려준 처방이라고 "천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우황청심원의 메인약재라고 할 수 있는 사향과 우황이 보인다.
사향은 수컷 사향 노루의 복부에 있는 향주머니 분비선을 말하며 '개규성신(막힌 체널을 열어 정신을 깨움)'하는 대표적인 약재다. 우황은 소의 담낭 결석을 말하며 사향과 같이 개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심, 간경으로 작용하여 심장의 열을 삭히고(淸心), 간풍(肝風)이 내동하여 잘 놀라거나 정신이 혼미한 증상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용뇌의 본초학적 설명을 참고하자면 "개규성신의 작용은 사향과 비슷하나, 약효가 미약하므로 사향의 좌약(佐藥)으로 사용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한마디로 사향의 서브역할이라고 볼 수 있겠다.

제4장 구심 - 심장을 구하다 역사 속으로...? 中에서

우황청심원은 사향, 우황, 용뇌와 같은 약재들이 핵심이 되어 간, 심의 열을 끄고 막힌 체널을 뚫어 기가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래 사진 속 표를 보면 시중에는 우황청심원은 원방과 성분함량을 낮춘 변방 제품으로 나뉘며 또한 사향과 사향대체물질을 쓰느냐(영묘향, L-무스콘)에 따라 구분되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원방과 변방, 사향과 사향대체물질 인지에 따라 우황청심원 종류가 다양하다 / 출처 : 약사공론

사향은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에서 얻은 것으로 현재는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따라 원료 수급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사향고양이의 사향선 분비물인 영묘향으로 사향을 대체하여 우황청심원을 출시하였다. 사향과 영묘향의 비교연구결과에 의하면 혈압강하, 스트레스 긴장상태 등에 대한 전반적인 약리효능을 비교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사향노루는 사육이 불가하고 죽여서만 사향을 채취할 수 있으나 사향고양이는 사육이 가능하고 죽이지 않고도 사향선 분비물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가성비 측면으로만 보아도 영묘향이 훨씬 싸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긴장완화의 목적으로 우황청심원을 복용하시는 경우가 많으실텐데 개인적으로는 이미 임상적인 약리효과가 검증된 '영묘향이 들어간 원방 제품'을 추천드리고 싶다.

L-무스콘은 사향의 지표성분을 말하는데 이는 사향의 여러 유효성분 중 하나로 실제 사향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조금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이다.(웅담과 UDCA가 비슷하지만 같지 않듯이)

좌: 사향노루 / 우: 사향고양이

다음으로 천왕보심단은 생지황, 현삼, 산조인, 백자인, 원지, 맥문동, 천문동, 황련, 오미자, 당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지황과 현삼은 청열하고 진액을 생성(보음제)한다. 산조인, 백자인, 원지는 한방에서 정신을 안정시키는 대표적인 약재다. 특히나 원지는 '심신불교[心腎不交]'를 치료하는 대표적인 약물로 심장의 화(火)기는 아래로, 신장의 수(水)기는 위로 보내어 '상열하한(얼굴쪽으로 열이 뜨고 하복부아래로는 차가운 현상)'에 쓰인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맥문동, 천문동, 오미자 역시 대표적인 보음제이며 황련은 불필요한 열과 습을 없애고, 당귀는 보혈활혈의 성격을 가진다.

* 보음제 = 체내 필요한 음액을 보충해주는 제제

따라서 천왕보심단의 구성은 강력한 보음제로서 음허로 인해 체내 음액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나타나는 내열(음허화왕)을 잡아 불면,불안,두근거림,숨참 등을 치료하는 약이 되겠다.

시중에 출시된 천왕보심단 제제 / 출처 : 약사공론


흔히 잠이 최고의 보약이라고 하지 않는가? 실제로 숙면은 최고의 보음제다. 숙면을 취하지 않으면 음이 보충될 수가 없고, 음이 부족하면 허열로 인해 숙면을 방해하여 다시 잠을 잘 못자게 되는 악순환이 생긴다. 이러한 경우 혹은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음액이 부족할 때 천왕보심단을 복용하신다면 좋을 듯 하다.(장기복용해도 무방한 약이다.)

음허가 아닌 일반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긴장, 불안감으로 단회 복용하실 약을 찾으신다면 우황청심원을 복용하시면 되겠다.   

이전 16화 "방풍통성산"을 다이어트약으로 써도 되나?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