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역사의 울림이 있는 길(북한산우이역 ~ 도봉산역)
1. 도보 코스 : 북한산우이역-연산군묘-정의공주 묘역-쌍둥이전망대-무수골-도봉사-도봉탐방지원센터-도봉산역
2. 코스 진입 : 북한산우이역 1, 2번(우이신설선호선)
3. 거리 : 7.3㎞
4. 시간 : 약 3시간 25분(중급 코스)
5. 스탬프 위치 : 북한산 둘레길 왕실묘역길 시작점, 도봉탐방지원센터 옆
역사문화유적지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볼거리가 많다.
방학로길을 따라 올라가다가 우측 왕실묘역길로 올라간다. 서울둘레길 마지막 21코스가 시작된다.
바닥흙이 곱게 느껴진다.
마을길이다.
연산군묘 재실(燕山君墓 齋室)
연산군묘 재실은 묘 관리자가 상주하던 곳으로 제향을 지낼 때는 제관들이 머물면서 제사에 관련된 일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기본적인 재실의 구성은 참봉의 집무실인 재실, 향과 축문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와 그 외 부속공간인 행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재실에서 발견된 치제현판에는 영조 51년(1775) 연산군의 외손에게 연산군 묘소의 제사를 지내게 하고, 관아에서 제수를 주고 군사를 배치하여 묘를 지키도록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광무 7년(1903)에 제작된 「묘각중건기」를 기록한 현판에는 이안눌의 자손이 대대로 제사를 받들어 모셨으며, 홍태윤이 지나가다가 묘소가 허물어진 것을 보고 안타까워하며 고종에게 건의하여 묘의 주변을 정비하고 재실을 보수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600년이 넘은 방학동 은행나무, 서울시 보호수 제1호(1968년 지정)
아파트 단지 옆(도봉구 방학4동 546번지)에 위치해 있다.
은행나무를 보고 나오면 차길이 나온다. 건너편에 세종대왕이 가장 총애했다는 정의공주의 묘가 있다. 우측 길로 올라가면 방학동길이다.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왕실묘역길구간이다. 입구 측 정면에는 사천목씨재실이 있다.
방학동길 특징 중의 한 가지는 굴참나무가 많다는 것이다. 한 가지에서 여러 갈래로 자란 굴참나무가 이 코스에서 자주 발견된다.
오르고 내리고 반복되는 숲길이 이어진다.
멧돼지 방지를 위한 철망, 문을 열고 닫는다.
오래된 계단이라 조심해야 한다.
좁은 덤불 같은 길도 지난다.
개여뀌
산악마라톤을 하는 사람들을 만났다.
실개천 같은 계곡, 작은 다리를 건넌다.
햇살에 비치는 그림자
다시 멧돼지를 방지하기 위한 철망이 나온다.
바가지약수터, 물을 마실 수 있다.
바가지약수터 공원
직사각형의 돌무덤처럼 보인다.
계단을 오른다. 도봉산역까지 올라가고 내려가고를 기억이 나지 않도록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종점이 보인다.
나무계단이 많은 코스다.
이름 모를 바위도 있다.
서울둘레길 주황색 리본만 쳐다보며 걸어간다.
쌍둥이전망대
전망대가 2개이지만 위에서는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른쪽은 올라가고 왼쪽은 내려오는 용도로 이용한다.
쌍둥이전망대를 내려오면 본격적으로 하산길에 접어든다.
무수골로 내려가는 통나무길이다.
무수골로 계속 내려간다.
도봉옛길이 시작된다.
무수골 녹색복지센터를 끼고 좌측 도로를 따라 걸어간다.
새깃유홍초
가는 길에 밤나무가 많다.
다시 숲길로 들어선다.
길 한가운데에 커다란 바위가 인상적이다.
흙길이 이어진다.
우측에 기념비가 있다.
무장애데크길
도봉옛길이 끝나면 도봉산에서 내려오는 길과 마주하게 된다.
도봉사 앞에 메타세쿼이아
도봉사 입구, 도봉사 대웅전 앞에는 단풍나무 연리지가 있다.
도봉산역 방향으로 내려간다.
도봉산 능원사를 지나간다.
도봉산 정상에 내려오는 길과 합류하는 통일교
태극기와 서울둘레길 리본이 같은 곳에 묶여 있다.
도로 건너 도봉산역이다.
좌측 지하도로 가면 서울 창포원이다.
다시 서울창포원 우체통이다.
서울창포원 버드나무
<21코스 트레킹 소감>
도봉구를 지나는 북한산 코스다. 연산군묘, 세종대왕의 딸 정의공주 묘역을 지난다. 특히 600년이 넘은 방학동 은행나무의 위용은 지나가는 시민의 발걸음을 묶어놓는다. 과거 농촌의 모습을 일부 간직한 무수골에서의 약수는 달콤하다.
도봉사, 능원사 등 유명 사찰을 지나 도봉산역 서울창포원으로 마지막 코스를 걷는 길이다. 무수골 가기 전 쌍둥이 전망대에서 서울둘레길 21개 코스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