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1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글자대로 읽으면 '망신이에요'

말소리튜닝 43

by 신미이 Mar 05. 2025

우주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보다 보면 많이 등장하는 어휘가 있습니다.


'인류'


바로 '인류'입니다. 역사와 문명을 소재로 한 글에서도 자주 등장하지요. 그런데 '인류'를 정확하게 소리 내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은 어느 과학 유튜브 영상 속 화자의 말을 맞춤법에 맞게 옮긴 것입니다.

인류가 우주 멀리 무언가를 보낼 때 무엇이 필요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아마 로켓을 떠올릴 겁니다.
현재 인류의 로켓기술을 보면 로켓만을 이용해 인공위성을 보낼 경우 화성까지 가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인류는 이미 화성 너머로 수많은 인공위성들을 보냈고, 심지어 태양계 밖으로 나간 인공위성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영상 속 화자의 실제 말소리는 이랬습니다.  발음된 소리는 [  ]안에 표기했습니다.


"[인뉴]가 우주 멀리 무언가를 보낼 때 무엇이 필요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아마 로켓을 떠올릴 겁니다.
현재 [인뉴]의 로켓기술을 보면 로켓만을 이용해 인공위성을 보낼 경우 화성까지 가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인뉴]는 이미 화성 너머로 수많은 인공위성들을 보냈고, 심지어 태양계 밖으로 나간 인공위성들도 있습니다."


'인류'를 [인뉴]라고 소리 냈습니다.  하지만 '인류'는 [일류]라고 소리 내야 맞습니다. [인뉴]가 아니라 [일류]라고 소리내야 자연스러운 우리말소리로 들립니다.


"[일류]가 우주 멀리 무언가를 보낼 때 무엇이 필요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아마 로켓을 떠올릴 겁니다.

현재 [일류]의 로켓기술을 보면 로켓만을 이용해 인공위성을 보낼 경우 화성까지 가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류]는 이미 화성 너머로 수많은 인공위성들을 보냈고, 심지어 태양계 밖으로 나간 인공위성들도 있습니다."


저는 이런 유치원 교사도 알고 있습니다. 

평소 대화때는 '[일류]어쩌고 저쩌고~' 정확하게 소리를 내다가도, 텍스트를 들이대고 읽어보라고 하면 '[인뉴]가 어쩌고 저쩌고~'하면서 말소리가 변해버리고 말지요. 

우리말소리를 정확하게 구사한다것이 모국어 화자들에게조차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우리말은  '표기'와 '말소리'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더 들어보겠습니다.


다음 낱말을 소리 내서 읽어 보세요.

1) '얼굴, 율곡, 순환, 감기, 관계, 목표, 일반'


다음 낱말도 소리 내서 읽어 보세요.

2) '국력, 법률, 담력, 먹는, 닫는, 신뢰, 상수관로'


1)과 2)의 차이를 아시겠어요?

모르시겠다면 소리 내서 다시 한번 읽어보세요.


1)은 표기대로 말소리도 나옵니다. 

   표   기:   '얼굴, 율곡, 순환, 감기, 관계, 목표, 일반'  

   말소리:   [얼굴, 율곡, 순환, 감기, 관계, 목표, 일반] 

 표기와 말소리가 같습니다.


2)는 어떻습니까?

   표  기:   '국력, 법률, 담력, 먹는, 닫는, 신뢰, 상수관로'

   말소리:  [궁녁, 범뉼, 담녁, 멍는, 단는, 실뢰, 상수괄로]

표기대로 말소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표기와 말소리가 다릅니다.  위에 예로 든 '인류'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우리말은 표기와 말소리가 일치하지 않는 낱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책이나 글을 읽다가 멈칫멈칫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맞게 읽었나? 하고  갸우뚱거렸던 경험 있으실 겁니다.


말을 할 때든, 글을 읽을 때든, 말소리가 정확해야 전달력이 높아집니다.

'인류'처럼 표기와 말소리가 일치하지 않는 낱말을 마주쳤을 때, 표기대로 읽으려고 애를 쓰다가는 낭패를 수 있습니다.  [인뉴]라는 엉뚱한 소리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인뉴]가 엉뚱한 소리라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뉴'를 검색해 보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라고 뜹니다.  

즉, 우리말에서 '인뉴'라는 어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 말소리도 없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우리말소리를 내려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어떤 낱말은 왜 표기대로 소리가 나고, 어떤 낱말은 왜 표기와 다르게 소리가 나는지 그 규칙을 알아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 규칙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전 08화 '띄어쓰기'와 '끊어읽기'는 달라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