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코로나 백서 8편
카카오 코로나 백서는 카카오 서비스 데이터를 통해 일상을 지키고자 한 우리 삶의 모습을 조명하고,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의 뉴 노멀(New Normal)의 양상을 담았습니다.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카카오톡, 뉴스, 검색, 미디어∙콘텐츠, 모빌리티, 헬스케어, 커머스, 핀테크, 인공지능, 소셜임팩트를 비롯한 카카오와 공동체 전반의 서비스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통해 바라본 우리의 새로운 일상이 미래 전략과 정책을 고민하는 데 실효적 참고자료가 되기를 고대합니다.
9월 18일,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첫 번째 이야기가 공개됐습니다.
1회에서는 여러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코로나19 이후 우리 일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다뤘습니다(1편 보기)
2회에서는 미디어와 콘텐츠 이용 데이터로 대상을 세분화해,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2편 보기)
3회에서는 커머스와 헬스케어 서비스의 데이터로 집에서 보내는 생활의 변화를 관찰하였습니다 (3편 보기)
4회에서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데이터로 사람들의 이동 패턴의 변화를 살펴봤습니다(4편 보기)
5회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달라진 일상 및 여행의 이동 양상을 데이터로 보았습니다 (5편 보기)
6회에서는 검색 트렌드로 사람들의 다양한 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6편 보기)
7회에서는 코로나 관련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데이터로 살펴보았습니다 (7편 보기)
코로나19는 특정 사람이나 집단이 아니라, 우리 사회 모두의 일상을 바꿨습니다. 카카오 데이터로 확인된 새로운 일상의 양상과 형태를 가능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확인했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의 내용을 오디오 클립 형태로 담았습니다. 텍스트로 쓰인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작업에는 카카오 엔터프라이즈의 TTS(Text to Speech) 기술이 활용됐습니다. TTS는 글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내용을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 생활을 빠르게 변화시켰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감염예방을 위해 온라인 거래,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등이 강조되며 디지털 문화로 이어진 부분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에 확산된 이후, 우리는 대면 결제보다 무인 결제기(키오스크)를 통해 주문하고 계산하는 것에 익숙해졌고 일상의 대부분의 제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여기게 되었습니다.
우리 삶의 곳곳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국면 속에서, 인공지능(AI)에 기반을 둔 서비스와의 소통 역시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일이 됐습니다. 하나의 예로 AI 챗봇은 산업 현장(관련기사) 뿐만 아니라 교육(관련기사)에도 일상의 지속을 위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생활 속에서 AI를 활용한 소통의 양상을 살펴보았습니다. 음성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인 헤이카카오를 코로나 기간 중 활용한 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올해 헤이카카오 사용자 수의 규모는 전반적으로 코로나 확산세와 비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올 초 설날 전후로 일시적 하락을 보였지만, 코로나19 확산 시점을 기점으로 증가세를 보입니다. 코로나 확산의 일시적 소강상태를 맞이했던 올 4월 마지막 주에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헤이카카오 사용자 수의 규모는 이태원 집단 감염이 발생한 5월 8일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입니다. 이 추세는 생활 속 방역 기간에 돌입한 6월 들어 감소로 돌아섭니다.
헤이카카오 발화량(카카오미니 스피커에 음성 명령을 한 횟수)도 사용자 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월 첫 주 대비 4월 넷째 주의 이용량은 올 초에 비해 38%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증가폭이 커지기 시작한 시점은 위기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된 2월 마지막 주였습니다. 이용량은 연 초 대비 20% 이상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6월 2주 차 들어 연 초 대비 10%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코로나 이후 가정에서 일어난 큰 변화 중 하나는 '교육/육아'에 대한 환경 변화 입니다. 우선, 코로나 기간 동안 교육/육아 관련 인당 이용량을 살펴보면 연초에 비해 10% 이내로 소폭 상승했습니다([그림 3] 참고).
헤이카카오를 통한 교육/육아 콘텐츠의 인당 수요(1인당 음성 이용량)는 큰 변동이 없으나 전체 사용자의 증가에 힘입어, 전체 수요(발화량)는 증가했습니다. 31번 슈퍼 확진자가 발생한 2월 4주 차에 사용자 수와 이용량은 각각 24%와 38%씩 상승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증가세는 유지됐습니다.
2020년 1월을 기준으로 3월의 헤이카카오 교육/육아 콘텐츠 이용량 증감을 주 중과 주말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전체 사용자 수의 주 중/주말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 주 중의 인당 이용량이 주말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그림 5] 참고). 전체 음성 이용량 또한 주 중에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홈트레이닝(홈트)이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헤이카카오 홈트 콘텐츠의 이용량(발화량) 규모는 코로나 기간 동안에 대체로 우상향했습니다. 전체 홈트 콘텐츠 이용량은 4월 마지막 주에 약 50%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백서 분석 대상과 방법
- 카카오 코로나 백서에는 카카오톡을 시작으로 뉴스, 검색, 미디어∙콘텐츠, 모빌리티, 커머스, 핀테크, 인공지능, 소셜임팩트까지 카카오와 공동체 전반의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가 담깁니다.
- 분석 방법 및 그래프 보는 법: 코로나 기간의 전후 비교를 위한 추이는 증감률을 알아보고자 퍼센티지(%)로 변환되었습니다. 분석의 기준 시점은 2020년 1월(첫 주 차 또는 1월 월간 데이터)을 기점으로, 올 6월까지의 데이터가 분석 대상이 됐습니다.
- 예시: 아래 그래프의 4월 4주 사용자 수 50% 증가는 2020년 1월 첫 주 대비한 변화 정도를 의미합니다. Y축 값이 0보다 큰 값은 연초 대비 관련 빈도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음의 값은 연초에 비해 관련 빈도가 감소했음을 뜻합니다.
콘텐츠 발행 주기: 카카오 코로나 백서는 9월 18일 발행을 시작으로, 11월 27일까지 총 10회가 발행됐습니다.
1회부터 10회를 한 데 묶은 종합본은 각 회 차의 맨 하단에 PDF 형태로 첨부했습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발행 현황
6편. 약국, 게임은 더 많이 찾고, 다이어트 검색은 줄고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분석 결과가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담긴 함의가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을 고민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데 유의미하게 활용되기를 희망합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판권은 주식회사 카카오가 소유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또한 저작권법에 따른 정당한 범위 내에서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인용하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파일명(버튼)을 클릭하시면 '카카오 코로나 백서' 전문을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