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골목길 경제학자 Feb 18. 2022

자본주의 윤리

기술사회가 꼭 기술만능주의 또는 기술관료주의(Technocracy)로 빠질까요?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고 생각하고 그 원인을 산업주의(Industrialism)와 이를 실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자본주의에서 찾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가 필연적으로 대량 생산, 대량 소비 중심의 산업 자본주의로 귀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대량 생산이 아닌 개인의 자아실현 중심의 자본주의도 가능하며, 이는 개인과 사회가 뚜렷한 자본주의 윤리를 갖고 있을 때 실현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윤리는 특히 AI시대에 중요합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자본주의가 인간 중심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는 도덕과 윤리가 절실합니다.


현재 한국 자본주의는 기술의 도전과는 별개의 윤리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공정이 시대정신이 될 만큼 불공정과 불평등이 사회와 경제 전역에 만연되어 있습니다. 한국 사회가 유난히 물질주의적이라는 비판도 많이 들으셨을 테고요. 그런데 자본주의 윤리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른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자본주의 윤리와 도덕도 개인 문제이고 이를 법과 제도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법과 제도로 충분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문화가 따라줘야 합니다. 특히, 특정 집단의 문화로 자리 잡은 자본주의 윤리가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자본주의가 개신교가 발달한 북유럽에서 융성한 이유를 설명한 막스 베버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산업화 과정에서 한국에 자본주의 정신을 제공한 이념도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이념이 부국강병 민족주의입니다. 민주주의를 더 발전시켜야 하는 현재 상황에서 일정 수준의 권위주의를 요구하는 경제 민족주의로  돌아갈 수는 없죠. 하지만 유교, 기독교, 상인, 천주교 등 경제인에게 자아실현, 자기 수양과 절제, 사회적 책임 등의 가치를 제공한 그룹의 경제 윤리는 아직 유효합니다. 386 IT세대와 MZ세대도 이단아 정신, 자기표현, 공정, 다양성, 독립성 등 개인 창의성 중심의 미래 경제가 요구하는 가치관을 갖고 있습니다.


생각해 보니 제가 여러 글에서 여러 그룹 문화를 설명했네요. 여기에서 소개한 그룹의 문화가 자본주의를 살리는 자본주의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교 자본주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02/2016020200817.html


개성상인 자본주의

https://cbiz.chosun.com/svc/bulletin/bulletin_art.html?contid=2015060901322


기독교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261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51


천주교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15


불교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300


386 자본주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02/2015060202059.html


MZ세대 자본주의

https://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21/10/954452/


소상공인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368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187


반문화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187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173


프리랜서 자본주의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339


지금까지 라이프스타일과 지역발전 연구를 해오면서 발견한 다양한 그룹의 비즈니스 문화를 한국 자본주의가 건강하게 발전하는데 필요한 자원으로 소개했습니다. 이들 사례를 어떻게 건강한 자본주의와 기술사회 건설를 위한 정책 대안으로 통합할지는 향후 과제로 남깁니다.  


Photo by Markus Spiske on Unsplash

매거진의 이전글 거리 두기의 추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