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런치 스토리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글 키워드
전류
글 목록
새로운 걸 배울 땐 내가 바보 같지
예전엔 뭔가를 알아간다는 것 자체가 희열이었다. 새로운 분야, 낯선 단어, 듣도 보도 못한 개념들을 접할 때면, 뇌 안에 미세한 전류가 흘러가는 느낌이 들곤 했다. 마치 무언가를 발견한 사람처럼 들뜨고, 더 깊이 파고들고 싶었다. 호기심이 나를 이끌었다. ‘이걸 알게 되면 내가 좀 더 괜찮은 사람이 되겠지’라는 근거 없는 기대도 그 안엔 있었다. 하지만
댓글
0
Mar 27. 2025
by
someformoflove
전류(Current)란 무엇인가
전자기학 - 전기와 자기는 같다 (2)
전하량(Quantity of Electric Charge) 원자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와 양성자는 각각 전하를 가진다. 전하란 전기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중성자와 뭉쳐져 원자핵을 이루고 있는 양성자는 양(+)의 전하를 가지고, 원자의 외곽에 분포되어 있는 전자는 음(-)의 전하를 가진다. 전하의 크기를 전하량이라고 하며, 이 전하량은 전기적인
댓글
0
Mar 04. 2025
by
Neutron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만드는 방법은?
pn 접합을 만들면 된다
우리가 물을 관을 따라 한쪽으로 흘려보내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손쉬운 것은 관을 기울이는 것일 것이다. 이렇게 관을 기울이면 물이 위치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흐르게 된다. 만약 관이 고정되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때는 한쪽에 압력을 가해야 할 것이다. 미국에서 시골 지역을 돌아다니다 보면 급수탑을 종종 보게 되는데
댓글
0
Jun 29. 2024
by
잔박
무엇이 전류를 방해하는가?
사람이 걷는 것도 비슷하다
앞서 전기장을 걸어주면 전류가 생기고, 전류를 높이려면 도핑을 하거나 이동도를 높여야 한다고 살펴봤다. 그런데 이동도를 어떻게 높일까? 이를 위해서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온도가 있으면 입자는 진동한다. 그러니까 우리가 보기는 매우 힘들지만, 모든 원자들이 지금도 제자리에서 진동하고 있는 것이다. 결정 속에서도 원자들이 진
댓글
0
Jun 28. 2024
by
잔박
[눈높이 기술] 전력 계통의 안전 지킴이
SPD(Surge Protective Device)
서지(Surge) 현상을 아시나요? 서지란 전류나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증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주로 낙뢰 때문에 일어나요. 건물 주변에 낙뢰가 떨어져 전력 계통으로 높은 전류와 전압이 유입되면 정전이나 설비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요. 기후 변화로 인해 여름철 낙뢰 발생이 늘고 있는 요즘, 서지로부터 전력 계통을 안전하게 보호할 방법은 없을까요? 오늘은 청
댓글
0
Jun 27. 2024
by
LS ELECTRIC
반도체에 전기장을 걸면 어떻게 될까?
때때로 전류가 흐른다.
반도체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반도체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던 전자와 정공이 한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전류가 생성된다. 정공은 양(+)의 전하를 띄기 때문에 전기장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받고, 전자는 음(-)의 전하을 띄기 때문에 전기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우리가 사용한 가스를 유량계로 측정하듯이, 얼마나 많은 전자/정공이
댓글
0
Jun 25. 2024
by
잔박
내 하루 에너지 소비량은
당신의 하루 에너지 소비량은 얼마인가. 내 하루에 필요한 건 비타민 뿐만이 아님을. 단백질보다도, 인간 몸에도 전류가 흐르기에 내 몸덩어리는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와도 같다. 방전되면 누군가가 나를 구해줘야만 한다. 스스로 구원하기를. GS25 부산종합터미널역점에서 일할 때 나는 정말 열심히 일했다. 그때가 벌써 일 년이 더 넘은 때다. 새벽 시간 동안 무인
댓글
0
May 28. 2024
by
문윤범
접속(接續)
- 붙어 있어야 은혜다
접속(接續) - 김용기 끊어지면 허당 전깃줄이 길어도 붙어 있어야 뒷간 불 켠다 불이 들어올 때까지 누군가는 밥 먹다 말고 뛰어나갔을 테고 수리는 밥맛과 상관이 없다 자르르르 사람마다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손 끝에 흐를 때 '이게 뭐랴' 하며 무덤덤한 사람이 있을 테고 이게 운명이려니 하고 그분의 사랑을 알고 즉각 굵은 선으로 바꾸는
댓글
0
Jul 16. 2023
by
김용기
전류의 선
인간의 생명을 영위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직접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두 개의 진영으로 갈라지게 되었다. 이는 인체의 유기질을 보존하면서 생체전류를 활용하자는 진영과, 유기질을 무기질로 완전히 교체하고 생활전류를 활용하자는 진영으로 나뉘게 되었다. 첫 번째 진영은 인체의 유기질인 조직과 장기를 그대로 보존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암
댓글
0
Jun 22. 2023
by
라트
C20. 전기와 자기의 통일
19세기가 되기 전까지 전기력과 자기력은 별개의 물리적인 힘으로 여겨졌다. 1820년에 이르러 덴마크의 외르스테드(Hans C. Oersted, 1777~1851)가 도선을 흐르는 전류가 자침(磁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전기력과 자기력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1873년에 영국의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
댓글
0
Jun 19. 2023
by
포레스트 강
생체 전류
인간 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그 어떠한 것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신경을 쓰고 노력을 했다. 그러면서도 인간 생존의 기본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인간이 생명의 기초에 대하여 새롭게 생각하게 된 전환점은, 의외로 인간 자체가 아니라 자동차의 동력이 완전히 전기로 바뀌고 나서부터다. 모든 자동차가 전기
댓글
1
Jun 16. 2023
by
라트
누림의 끝
누림의 끝 - 김용기 0.2 볼트의 낮은 전류로 시작된 알 수 없는 카타르시스 접촉 불량의 전기처럼 지난밤 깜박거리기를 반복하였다 6.25가 엊그제 같던 시절이 있었는데 어느새 40년 넘은 그때의 지금 5.18 사건 주인공의 손자가 등장했다 뜬금없는 사과에 신문이 사실임을 알려주었다 누구는 격세지감이라고 했는데 도무지 묶인 채 가지 않는 세월 다가
댓글
0
Mar 28. 2023
by
김용기
서울 1989년
쉿, 허리 굽혀 지하도에서, 빌딩 꼭대기에서 살점 지지는 이십세기 한반도식 전류가 흘러나오고 있어 우리라고 불리는, 정말 우, 우습게도 우리 같지 않은 우리들이 벌건 대낮에도 야맹증에 시달리는 쉿, 숨죽인 채 엎드려 있어 최루탄 가스와 소독 전혀 하지 않은 압박붕대 환타, 코카콜라, 소주병이 타락했어, 타락 돌았어, 완전히 홰액 돌았어 똑같은 복장을
댓글
0
Feb 28. 2023
by
조희길
봉합할 수 있는 아픔이었다
1일 1커밋 #112
글을 읽다 보면 죽음에 대한 글을 자주 발견하게 된다. 가까운 이의 죽음만큼 마음을 저리게 만드는 일이 또 있을까. 고압 전류가 흐르는 철조망에 딱 붙어서 채 손을 떼어내지 못하고 까맣게 타들어가는 짐승의 모습과 같은 마음일 것이다. 그 고압 전류를 어떻게든 방전시켜야 그 부동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터였다. 그 방전, 고여있는 슬픔을 어딘가로든 뱉
댓글
0
Jun 30. 2021
by
김디트
생각열기로 생각의 전류가 흐른다.
"개성은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다" 라는 말이 있다 개성은 사회적 잣대로 이리저리 제단 할 수 없는 사회적 자산이다. 개성이 매몰된 삶은 개인에게는 박제된 행복이며 사회적으로는 역사적 발전을 가로막는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개인은 각각의 개성을 다양하게 꽃 피울 수 있어야 한다. 독일의 사상가 훔볼트는 '자유'와'상황의 다양성
댓글
0
Mar 23. 2021
by
Plato Won
Ch1-1. 전압과 전류, 저항, 전력
전압(Voltage), 전류(Current), 전력(Power)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모두가 전기(Electricity)에 대한 용어들이다. 전기는 현대문명을 지탱해주는 동력이자, 나의 직업이 존재할 수 있는 근원이다(토마스 에디슨, 니콜라 테슬라 두 형님에게 감사할 따름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이해해야
댓글
0
Mar 01. 2020
by
이경종
전선 어디쯤이 끊어진걸까요?
FLIGHT LOG
가전제품은 작당하지 않고서야 좀처럼 전선이 피복 안쪽에서는 끊어지는 일이 없습니다. 집에서 만드는 소소한 장난감도 전선은 잘 보이지 않는데다 흐르는 전류도 낮아서 끊어지는 일은 드물죠.그런데 드론에서는 종종 생깁니다.- 가는 전선을 모아 꼬아둔 구조는 반복해서 구부리다 보면 비슷한 시기에 피로 강도가 떨어져 끊어지기도 하고- 높은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
댓글
0
Mar 01. 2018
by
Matthew Min 민연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
브런치스토리 작가로 데뷔하세요.
진솔한 에세이부터 업계 전문 지식까지,
당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선보이세요.
브런치스토리로 제안받는 새로운 기회
다양한 프로젝트와 파트너를 통해
작가님의 작품이 책·강연 등으로 확장됩니다.
글로 만나는 작가의 경험
작가를 구독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을 추천합니다.
이전
1
2
3
다음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내 브런치스토리 찾기
내 브런치스토리의 카카오계정을 모르겠어요
페이스북·트위터로만 로그인 했었나요?
로그인 관련 상세 도움말
창 닫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