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3 댓글 1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당신의 부엌은 안녕하신가요

여백이 있는 집에서 살고 싶은 바람.

by BYEOT Apr 21. 2024
아래로


집에서 가장 독특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건 전자레인지다. 이따금 가전을 사용하는 모습을 누군가에게 보여주는 순간에 구구절절 사연을 읊게 되는 비밀스러운 곳에. 먼저 전자레인지를 쓰고 싶다면 의자를 밟고 올라가서야 한다. 다음엔 싱크대 상부 수납장을 열고, 멀티탭을(두 개를 연결해 둔 것을) 내려 전원을 켠다. 데울 음식을 머리 위로 들어 전자레인지에 넣고, 의자 밑으로 내려와 기다린 후 동작을 반복해 정리한다.


다시, 변명을 시작하자면 좁은 공간의 부엌에서 기이한 곳에 위치한 전자레인지는 선택 밖의 일이다. 주방 가전을 티비장 위나 신발장 앞 혹은 침대 방에 두고 싶지 않다면 말이다. 나의 커다랗고 못생긴 전자레인지는 동생에게 물려받았다. 학교를 외각으로 다녔던 동생이 급하게 산 가성비 제품은 그가 서울로 돌아오면서 자연스럽게 내게로 왔다. 전자레인지는 이사를 올 때부터 4년 내내 늘 한 자리에 있는데, 청소라도 할라치면 이를 들고 내리면서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연출된다. 덕분에 웬만해서는 전기보다는 물을 끓여 데우는 식으로 극적 타협이 이뤄지고 있다.


바야흐로 갓 태어난 독립러의 살림법은 부모에게서부터 올 수밖에 없다. 식기 정리와 음식물 쓰레기 관리부터 부엌살림이 시작된다. 반면 조리대가 넓은 본가에서는 웬만한 식기들을 건조대에 그대로 말린 후 사용했는데, 나는 간헐적으로 그릇장에 말린 식기를 차곡차곡 정리한다. 좁은 부엌을 간결해 보이게 하기 위해서다. 음식물 쓰레기를 무게로 달아 버리는 본가와 달리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가장 작은 1L와 그보다 큰 3L 두 가지를 쓰고 있다. 평소에는 작은 봉투를 사용해 그때그때 처리하고, 찌개나, 과일 껍질 등 굵직한 쓰레기가 나올 때는 비교적 큰 봉투를 사용한다. 덕분에 혼자 살면서 단 한 번도 벌레가 생긴 적이 없다. 역시 그때그때 버리기가 답이다.


사람들이 우리 집 부엌을 보며 답답해하는 건 놀라울 정도로 아날로그식을 고집해서다. 우리 집에는 그 흔한 에어프라이기나 믹서기, 커피 머신이 없다. 내돈내산으로 비치한 가전은 물을 끓일 수 있는 포트뿐이다. 물건 하나를 고를 때 허투루 하지 않는 내가 찾는 포트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덤벙거리는 나를 위해 겉 면은 플라스틱일 것. 2 관리하기 쉽게 안쪽은 스테인리스 100% 일 것. 3 청소를 위해 하나의 넓은 통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 4 뚜껑과 본체가 연결되어 있을 것. 5 물이 끓으면 자동으로 꺼질 것. 꽤 흔한 조건이라고 생각했던 포트 찾기는 약 2주 넘게 치열하게 이루어졌다. 기어코 찾은 3만 원대 포트를 4년째 아무 불만 없이 잘 쓰고 있다.


줄이고, 또 줄여서 마련한 식기와 주방용품은 매번 수납공간보다 넘친다. 이따금 인스타그램에서 오븐을 활용한 레시피를 보면 '꼭 해보고 싶다....' 의지가 활활 타오르지만 이미 꽉 찬 수납장을 보곤 금세 수그러든다. 오늘 나의 집에선 가성비 좋은 가전으로 집을 꾸역꾸역 채워 넣기보다 분수에 맞게 살기로 했다. 여전히 내가 가진 것 중 가장 비싼 값을 지불한 건 1평. 즉 공간이다.




이전 09화 아직 첫 번째 집에 삽니다만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