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자본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진 Jun 04. 2024

‘생산이라는 숨겨진 장소’

사이토 고헤이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읽기

노동자가 처한 불합리한 상황과 자본이 야기하는 심각한 노

동문제를 다루기 전에, 자본가가 어떻게 가치를 높이고 자본을

축적하는지 그 원리를 간단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G-W-G′’라는 일반 공식이 암시하듯, 수중에

있는 자금을 주머니에 쌓아 둔다고 해서 가치가 증가하지는 않

습니다. 수전노(守錢奴)같은 태도는 자본주의에서는 불합리합

니다.          



자본가가 되려면 위험을 무릅쓰고 돈을 투자해 ‘팔릴 것 같

은’ 물건을 계속 생산해야 합니다. 그것이 자본을 늘릴 수 있

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주식이나 외환 등

의 방법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가치는 “생산이라는 은밀한 장

소”(189/232)에서만 증가한다고 마르크스는 말합니다.          



무슨 말인지 단순화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노동자가 일당 1만 엔에 여덟 시간을 일한다

고 가정합니다. 자본가는 그에게 하루 일을 시키고 1만 엔을 줍

니다. 그날 하루의 노동으로 생산된 상품의 가치가 1만 6000엔

이라면, 노동자의 일당을 뺀 6000엔이 자본가의 이윤이 됩니다.

이를 마르크스는 ‘잉여가치’라고 불렀습니다. 이 잉여가치에

의해 자본은 증가하는 것입니다.          



‘6000엔은 너무 많으니 4000엔만 벌라’는 문제가 아닙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노동자가 ‘노동력’을 판매한 대가로 받는

임금보다 더 큰 가치를 자신의 노동으로 창출한다는 사실입니

다. 그러지 않는다면 그의 노동력은 자본가에게 ‘살 가치가 없

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위의 경우를 자본의 일반 공식에 대입하면, 자본가는 1만 엔

(G)으로 ‘1일분의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사서 신발(W)을 만들

고, 그것을 팔아서 1만 6000엔(G′)을 손에 쥔 것이 됩니다.          



그중 1만 엔으로 다음 날도 일하게 하고 다시 1만 6000엔을 손

에 넣으면 처음 1만 엔이던 ‘G’는 2일분의 잉여가치인 1만 2000

엔이 더해져 2만 2000엔이 됩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노동자를

두 명 고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하루에 창출되는 잉여

가치도 두 배로 늘어납니다. 가치가 가치를 낳는 운동이 끝없이

반복되면서 자본은 점점 더 증식하는 것입니다.          



가치는 그 자체가 가치이기 때문에 가치를 낳는다는 신비한

성질을 부여받는다. 가치는 살아 있는 자식을 낳거나 적어도

황금의 알을 낳는다.(169/201)          



인간의 노동을 통해 가치가 가치를 낳는 자기 증식 과정은 누

구도 막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가치의

‘신비한 성질’이 노동자를 몰아붙이는 것입니다.           



 [출처]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사이토 고헤이 지음, 정성진 옮김, arte 2024, 66~68.



2024. 6. 4.



더 나은 사회로 가는 지름길 (brunch.co.kr)

자본이란 “운동”이다 (brunch.co.kr)

자본이 숲을 울타리 치다 (brunch.co.kr)

‘상품’의 정체 (brunch.co.kr)

부란 무엇인가 (brunch.co.kr)

『자본론』은 ‘부’에서 시작된다 (brunch.co.kr)

인간의 노동은 무엇이 특수한가 (brunch.co.kr)

‘물질대사’로서의 노동 (brunch.co.kr)

매거진의 이전글 더 나은 사회로 가는 지름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