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올
명사 '올'은 다음 뜻을 지닌 낱말이다.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해. =올해.
용례를 보자.
올 삼월.
올 농사.
2. 한눈
명사 '한-눈'은 다음 뜻을 지닌 낱말입니다.
「1」 한 번 봄. 또는 잠깐 봄.
용례를 봅니다.
한눈에 반하다.
3. 동안
명사 '동안'은 다음 뜻을 지닌 낱말이다.
「1」 어느 한때에서 다른 한때까지 시간의 길이.
용례를 보자.
3시간 동안.
사흘 동안.
또 다른 의미도 있다.
「3」 두 지점 사이의 거리.
용례를 보자.
우리 집은 가게에서 동안이 멀지 않았다.
4. 기간(其間)
명사 '기간(其間)'은 다음 뜻을 지닌 낱말이다.
어느 때부터 다른 어느 때까지의 동안.
용례를 보자.
이 학교가 설립된 지 어언 10년, 이 기간 학교는 수많은 영재를 배출해 왔다.
5. 맞장구
명사 '맞-장구'는 다음 뜻을 지닌 낱말이다.
「1」 남의 말에 덩달아 호응하거나 동의하는 일. ≒곁장구, 맞장단.
용례를 보자.
어머니도 은근히 맞장구를 놓았다.
6. 머리말/머리글
명사 '머리-말'은 다음 뜻을 지닌 낱말이다.
「1」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
「2」 말이나 글 따위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 =서론.
7. 뒤통수
표준어 표기는 '뒷통수'가 아니라 '뒤통수'입니다.
개인 기록
1.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소프트웨어 설계에 응용하기>편에서 '일 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2. <보편적인 인권 그리고 내 삶의 균형>편에서 '시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3. <작동하는 지식과 기억 용량을 주여주는 대칭화>편에서 '시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4. <속말과 말차림: 대화에서 얻은 보물>편에서 '시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5. <필요로 하는 것을 갖기 전에는 뭐가 필요한지 모른다>편에서 '시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6. <가치 있게 시간을 쓰는 일이란 무엇인가?>편에서 '시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7. <인간에겐 한계가 없다는 걸 모르고 산다>편에서 '연휴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8. <한국말에서 무엇이 어떤 뜻을 갖는 차림새>편에서 '한참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9. <아이들의 시선에서 보기>편에서 '일 년 동안'을 쓸 때 같은 오류를 범했다.
10. <인공지능과 유튜브가 만들어 준 지식 검색의 변화>편에서 '머리글'을 쓰면서 같은 오류를 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