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AI와 디지털로 코로나 블루를 달래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 10편

카카오 코로나 백서는 카카오 서비스 데이터를 통해 일상을 지키고자 한 우리 삶의 모습을 조명하고,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의 뉴 노멀(New Normal)의 양상을 담았습니다.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카카오톡, 뉴스, 검색, 미디어∙콘텐츠, 모빌리티, 헬스케어, 커머스, 핀테크, 인공지능, 소셜임팩트를 비롯한 카카오와 공동체 전반의 서비스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통해 바라본 우리의 새로운 일상이 미래 전략과 정책을 고민하는 데 실효적 참고자료가 되기를 고대합니다.


9월 18일,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첫 번째 이야기가 공개됐습니다.

1회에서는 여러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코로나19 이후 우리 일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다뤘습니다(1편 보기).

2회에서는 미디어와 콘텐츠 이용 데이터로 대상을 세분화해,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2편 보기).

3회에서는 커머스와 헬스케어 서비스의 데이터로 집에서 보내는 생활의 변화를 관찰하였습니다 (3편 보기).

4회에서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데이터로 사람들의 이동 패턴의 변화를 살펴봤습니다(4편 보기).

5회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달라진 일상 및 여행의 이동 양상을 데이터로 보았습니다 (5편 보기).

6회에서는 검색 트렌드로 사람들의 다양한 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6편 보기).

7회에서는 코로나 관련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데이터로 살펴보았습니다 (7편 보기).

8회에서는 생활 속에서 AI를 활용한 소통의 양상을 살펴보았습니다 (8편 보기).

9회에서는 비대면 일상으로 변화된 디지털 서비스의 활용 양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9편 보기).


코로나19는 특정 사람이나 집단이 아니라, 우리 사회 모두의 일상을 바꿨습니다. 카카오 데이터로 확인된 새로운 일상의 양상과 형태를 가능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확인했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의 내용을 오디오 클립 형태로 담았습니다. 텍스트로 쓰인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작업에는 카카오 엔터프라이즈의 TTS(Text to Speech) 기술이 활용됐습니다. TTS는 글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내용을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유례없는 팬데믹으로 우리 모두가 어려운 시기입니다. 장기화되는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뿐만 아니라 마음에도 심대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로나 기간 동안에 우리의 마음 상태를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마음을 달래주는 도구로서의 디지털의 역할도 주목해 봤습니다. 




#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함께 찾아온 코로나 블루

- 행복지수,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

- 부정적 정서와 스트레스 지수 ↑


'대한민국 안녕 지수(행복지수)' 변화를 통해 코로나 기간 동안에 우리 사회의 마음 상태를 들여다봤습니다.

행복지수는 카카오가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와 협업하여 진행하는 서비스로 삶의 만족도, 긍정/부정 정서, 스트레스 등의 세부 유목을 포함하여 총 10문항으로 구성됩니다. 각각의 문항은 0(전혀 그렇지 않다)~10(매우 그렇다)의 10점 척도로 구성됩니다. 

행복지수의 변동은 올 초부터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되기 전(3월 21일 이전)까지는 크지 않았습니다. 데이터의 변곡점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3월 말 무렵부터입니다. 5.3점 전후를 보이던 행복지수는 5월 초에 5.1점으로 하락했습니다. 행복지수의 변화가 컸다고 하기에는 조심스럽지만, 5.3점에서 미동 없던 수치가 하락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코로나로 인해 사람 간 거리를 인위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시기부터 사람들의 '행복'이라는 감정에 변화가 생겼음을 지수의 변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림 1]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행복지수 추이 (2020/1 ~ 2020/5)


삶의 만족도 역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시점 이후로 하락했습니다. 

[그림 2]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삶의 만족도 추이 (2020/1 ~ 2020/5)


삶의 의미를 측정하는 지표 또한 같은 기간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림 3]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삶의 의미 변화 (2020/1 ~ 2020/5)


응답자들의 긍정 정서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시점부터 감소했습니다

[그림 4]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긍정 정서의 추이 (2020/1 ~ 2020/5)


반면 부정 정서는 같은 시점을 기준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림 5]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부정 정서의 추이 (2020/1 ~ 2020/5)


코로나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위기 경보가 경계 단계로 격상되며, 사람들의 스트레스 지수가 증가했습니다. 3월의 심각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하락한 스트레스 수치는 코로나가 장기화되며 다시금 증가했습니다. 

[그림 6] 카카오 마음날씨를 통해 본 스트레스 지수 추이 (2020/1 ~ 2020/5)


# 코로나 기간의 달라진 힐링 니즈

- 마음 챙기기보다는 단절에 대한 불안 극복 추구


카카오같이가치에서는 ‘마음챙김’이라는 메뉴를 통해 명상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각각의 명상 사운드는 그 특성에 따라 키워드가 부여되는데,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상 주제에 대한 키워드를 검색하여 명상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전/후를 기점으로 플레이된 사운드의 주요 키워드 현황을 분류하여 보면 그 시기에 사용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힐링의 요소가 무엇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상반기(1~6월)의 마음챙김 주요 키워드는 '마음보기(23%)', '자존감(8%)' 등의 일상적 힐링 콘텐츠가 주로 소비되었습니다. 반면, 2020년 상반기(1월~6월)의 마음챙김에서 나타나는 키워드들은 1년 전과 비교해 사뭇 다릅니다. 이 시기에는 2019년에 주로 소비되던 일상적 힐링 콘텐츠보다는 특정한 불안 관련 콘텐츠가 주로 나타나게 됩니다. '관계(9%)', '마음면역력(8%)', '불안(7%)' 등으로 단절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안감을 치유하기 위한 명상 사운드들이 '마음보기'(5%), '수용 (6%)'에 비해 더 많이 소비됐습니다. 

[그림7] 2019년(좌)과 2020년(우) 카카오같이가치의 마음챙김 주요 키워드 현황 (2019/1~2019/6, 2020/1~2020/6)


# 마음 힐링은 AI와 함께

- 헤이카카오를 통한 힐링 사운드 수요는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

인공지능 서비스인 헤이카카오를 통해 힐링 사운드를 찾는 수요도 코로나 기간 동안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헤이카카오에서 힐링 사운드를 소비한 사용자 규모는 1월 말에는 연초에 비해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코로나가 본격화된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힐링 사운드 사용자 수는 슈퍼 확진자가 발생한 직후인 2월 4주 차에는 연초에 비해 29% 증가합니다. 3월에 연초 대비 40%가량 증가한 사용자 규모는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연장된 시점인 4월 4주 차에 145% 급증합니다. 4월 22일에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힐링 사운드를 접할 수 있도록 새로운 힐링 사운드 콘텐츠가 헤이카카오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림 8] 헤이카카오를 통해 힐링 사운드를 소비한 사용자 수 추이 (주 단위, 2020/1~2020/6)



# 몸은 멀어졌지만, 디지털 기부로 서로를 위로하다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은 기부로 마음을 전했습니다. 기부와 참여를 통해 사회공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이뤄진 코로나 전후의 기부 참여를 직접 기부와 참여 기부(응원기부/댓글 기부 등)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그림 9]에서와 같이, 올 3월의 기부 열기는 지난해를 압도했습니다. 

[참고]2019년 3월에는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4월에는 '강원산불 모금', 그리고 12월에는 '연말'을 기념하여 특별 모금행사가 진행됨

[그림 9] 카카오같이가치의 기부 참여 건수 추이 (2019/1 ~ 2020/6)



백서 분석 대상과 방법

- 카카오 코로나 백서에는 카카오톡을 시작으로 뉴스, 검색, 미디어∙콘텐츠, 모빌리티, 커머스, 핀테크, 인공지능, 소셜임팩트까지 카카오와 공동체 전반의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가 담깁니다. 

- 분석 방법 및 그래프 보는 법: 코로나 기간의 전후 비교를 위한 추이는 증감률을 알아보고자 퍼센티지(%)로 변환되었습니다. 분석의 기준 시점은 2020년 1월(첫 주 차 또는 1월 월간 데이터)을 기점으로, 올 6월까지의 데이터가 분석 대상이 됐습니다. 

- 예시: 아래 그래프의 4월 4주 사용자 수 50% 증가는 2020년 1월 첫 주 대비한 변화 정도를 의미합니다. Y축 값이 0보다 큰 값은 연초 대비 관련 빈도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음의 값은 연초에 비해 관련 빈도가 감소했음을 뜻합니다. 

콘텐츠 발행 주기: 카카오 코로나 백서는 9월 18일 발행을 시작으로, 11월 27일까지 총 10회가 발행됐습니다. 

1회부터 10회를 한 데 묶은 종합본은 각 회 차의 맨 하단에 PDF 형태로 첨부했습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발행 현황

1편. 데이터로 본 코로나19 이후 우리의 일상

2편. 단절된 일상을 디지털이 위로하다

3편. 집콕 라이프의 생활상

4편. 코로나 시대에 도로가 더 붐볐던 이유

5편. 테마파크 대신 장난감 가게를 내비에서 찾다

6편. 약국, 게임은 더 많이 찾고, 다이어트 검색은 줄고

7편. 코로나에 쏠렸던 관심은 어느 정도였을까?

8편. 코로나가 앞당긴 언택트 시대의 AI 활용법

9편. 디지털에 담긴 비대면 일상의 궤적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분석 결과가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담긴 함의가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을 고민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데 유의미하게 활용되기를 희망합니다.


카카오 코로나 백서의 판권은 주식회사 카카오가 소유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또한 저작권법에 따른 정당한 범위 내에서 카카오 코로나 백서를 인용하시는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파일명(버튼)을 클릭하시면 '카카오 코로나 백서' 전문을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