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성윤 Sep 21. 2017

개, 돼지로 길러지는 아이들

"막다른 골목에 선 교육제도"

작년 7월의 키워드는 아마도 '개, 돼지'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아마 모두들 그때의 사건을 뚜렷하게 기억하리라 생각한다. 바로 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의 한 마디. 그 한 마디가 온 국민의 분노를 샀다.

"민중은 개, 돼지 취급하면 된다." 

일 년이 지난 오늘에도 저 말을 생각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것 같은 분노가 끓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맞는 말이 아닌가 싶다. 더군다나 교육부 관계자가 말했다는 점에서 더 그럴싸하다고 생각한 이유가 바로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학생들을 '개, 돼지로'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얼음이 녹으면 ㅁ(네모)다' 위 질문에서 ㅁ(네모)에 들어갈 정답은 무엇인가?

정답은 바로 '물'이다. 그러나 다른 답변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 순수한 저학년 초등학생은 “북극곰이 운다.”라고 대답할 수도 있고, 과학을 좀 배운 초등학생은 “해수면이 상승한다.”라고 대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하나 딱히 틀린 답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정답은 오직 '물'만 가능하다. 물이 아닌 위와 같은 다른 답변을 쓴 학생들은 빨간색 색연필로 찍 그어진 채점 지를 받게 될 것이다. 획일화된 정답만을 요구하는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에서는 생각이나 상상력, 창의력은 불필요한 대답일 뿐이다. 하나의 대답만을 요구하는 우리 교육 시스템에서 나는 학생들이 개, 돼지로 길러진다고 생각한다. 


사람인 우리가 동물인 개, 돼지와 다른 점이 뭘까? 바로 '생각'한다는 점이 아닐까? 이것이 다른 동물과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결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침팬지와 사람의 유전학적 차이는 보통 0.4% ~ 1.2% 정도라고 한다. 이 작은 차이로 인간은 먹이사슬 꼭대기에 올라 수 천 년째 지구라는 행성의 주인으로 살고 있고, 침팬지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동물원에 전시되고 있다. 무엇이 이토록 인간을 특별한 존재로 만들었을까? 1.2%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 작은 차이를 나는 '생각'이라고 본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생각한 것을 다시 언어로 표현하며 의사소통을 한다. 생각하는 힘, 그리고 그 생각을 다시 표현하는 힘이 우리가 개, 돼지, 침팬지를 비롯한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교육제도는 어떠한가? 과연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있는가? 나는 전혀 그렇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이들이 개, 돼지로 길러지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싶다. 주입식 교육이 통하던 시절이 있었다. 영어 단어를 많이 알고, 영어를 할 줄 알아야만 통역사를 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 2017년 오늘은 주입식 교육, 획일화된 교육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이다. 스마트 폰 하나면 모든 게 번역이 되는 세상이 왔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경우의 수 보다 알파고가 생각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더 많다. 작년 3월 알파고에 패한 이세돌은 우리에게 적잖은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미 기술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꽤나 앞서있다. 더 이상 누가 영어 단어를 더 많이 알고 있고, 수학 공식을 잘 외우고, 제한된 시간에 문제를 더 많이 푸는 교육은 쓸모없는 교육이 됐다. 앨빈 토플러는 "한국 학생들은 하루 15시간 동안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라고 말한 바 있는데 이게 진짜 현실이 됐다. 누가 계산기보다 암산을 빨리할 수 있고, 누가 컴퓨터보다 Spelling Bee(영어 철자 맞추기)를 잘할 수 있는가.

앨빈 토플러의 말대로 우리는 세상에서 가장 쓸데없는 교육을 우리는 너무 오랜 시간 동안 학교에서 배우고 있다. 다가오는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면서 정작 우리는 4차 산업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안 하고 있다. 4차 산업시대의 인재상은 의사소통, 창의력, 협업력을 겸비한 인물인데 지금의 교육제도는 여기에 초점이 하나도 맞춰져있지 않다. 세계 교육 선진 국가들의 시험문제를 보면 굉장히 심도 깊은 사고력과 창의력을 요구한다. "정치에 무관심하고도 도덕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 "권리를 옹호한다는 것은 곧 이익을 옹호하는 것인가?" 프랑스의 수능 바칼로레아의 문제이다. "디지털화된 미디어 세상에서 '읽기'가 의미를 잃어가는지 논술하시오. 다음 제시문에 근거하여 작성하되 개인적 경험과 배경지식을 최대한 활용하시오." 독일의 수능 아비투어에 실린 문제다. 아비투어에서 5개 선다의 문제는 찾아보기 힘들다. 하나의 질문에 빽빽하게 채워 넣어야 하는 공백만 있을 뿐이다. 다가오는 미래는 언어의 장벽이 허물어진 시대일 것이다. 이런 미래에서 한국 학생들이 경쟁해야 할 상대는 어쩌면 내국인이 아니라 외국인일 것이다. 이런 학생들과 경쟁했을 때 과연 한국 학생들이 얼마나 경쟁력이 있을지 나는 의문이다.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믿을 것이라고 인재뿐인데 우린 인재들을 '개나 돼지'로 키우고 있는 건 아닌지 염려스러울 뿐이다.

프롤로그 "정치는 볼드모트가 아니야!"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0 

우리가 개새끼라고? 왈왈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2 

2016년 청년들은 왜?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3 

춤추고 싶으면 홍대 클럽 갈게요. 정당은 아니네요.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4 

19금 정치는 직무유기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5 

과연 저들이 우리를 대표할 수 있을까?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8 

청년들이 뭘 알아? "우리도 알 건 압니다!" https://brunch.co.kr/@youthpolitica/89 

회식은 야근이야! https://brunch.co.kr/@youthpolitica/91

야근... 두꺼비집을 내릴까? https://brunch.co.kr/@youthpolitica/92

이번 매거진은 출판을 목적으로 쓰고 있습니다 ^.^
읽어보시고 괜찮으시다면 '좋아요', '공유', '댓글' 부탁드립니다~
연락이 필요하신 분은 s_ylee1109@hanmail.net으로 메일 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야근... 두꺼비집을 내릴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