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탐험가 김홍채 Jun 20. 2022

부모와 자녀의 관계

대인관계 심리탐구 관련 글

이 글은 [브런치북] 대인관계를 위한 성격심리 이해하기 (brunch.co.kr)에 이어서 후속 브런치북[대인관계 심리탐구]에 담을 것들 중 하나입니다.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대인관계 심리탐구: 상황과 관계 유형 편]

제8부 가족관계
8.1 가족의 분류와 기능 (brunch.co.kr)
8.2 가족체계 이론으로 본 가족관계 (brunch.co.kr)
8.3 부모와 자녀의 관계 (brunch.co.kr)
8.4 형제자매 관계 (brunch.co.kr)
8.5 나이 든 부모와의 관계 (brunch.co.kr)


[부모와 자녀의 관계와 자녀의 성격]

이 브런치의 다른 글 [브런치북] 대인관계를 위한 성격심리 이해하기 (brunch.co.kr)의 

18화 부모 자녀 관계와 성격 (brunch.co.kr)

20화 부부관계와 자녀의 성격 (brunch.co.kr) 그리고

심리현상 인지오류 편향 관련 용어 매거진 (brunch.co.kr)의 

어머니의 돌봄, 과보호, 애착 (brunch.co.kr)도 참고 바람.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격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자신감(self -confidence)이 강한 자녀가 되도록 기르는 데는 민주적이고 권위 있는 태도가 무엇보다 바람직하다는 점에서는 대략 의견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쿠퍼스미스(Coopersmith, 1971)는 양육태도를 수용성, 허용성과 벌, 민주적 관행, 독립성의 훈련이라는 4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이러한 태도와 자녀의 자기 평가와의 관계를 검토했습니다. 그 결과 


 자녀 친구들을 잘 알고 있고, 수용적으로 자녀에게 강한 관심을 가지고, 허용적이지 않고 주의 깊게 자녀의 행동을 규제하고, 때로는 벌을 주는 것도 마다하지 않지만, 엄격하면서도 민주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 밑에서 자기 평가가 높은 자녀가 길러지기 쉽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높은 자존감을 지닌 경우, 그 부모들에게서 모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양육 태도나 관련 행동은 없었다. 우리는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Stanley Coopersmith(미국의 교육자이자 심리학자)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녀의 행동]


 바움린드(Baumrind, 1967)는 통제의 엄격함. 의사소통의 명쾌함, 성숙 요구도, 양육적 애정이라는 4가지 차원에 기초하여 허용적(low demandingness, high responsiveness), 민주적(권위 있는, high demandingness, high responsiveness), 권위주의적(high demandingness, low responsiveness), 3가지 양육방식을 도출했습니다. 


 이 3가지에 맥코비와 마틴(Maccoby & Martin, 1983)이 방임적(neglectful or uninvolved) 양육방식을 추가함으로써 현재는 총 4가지 양육방식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양육 양식과 자녀의 자기 효능감의 관계를 보면, 


 민주적(권위 있는) 부모의 자녀는 자율성이 높고, 자기주장을 하면서도 우호적이고, 달성 동기가 강하고, 만족감도 가지고, 자기 효능감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편 권위주의적인 부모의 자녀는 활력이 부족하고, 달성 동기가 약하고, 불만이 많고, 자기 효능감이 낮았습니다. 


 또 허용적 부모의 자녀는 의존적이고,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고, 요구가 많고, 달성 동기가 약하고, 자기 효능감이 낮았습니다.  


 그리고 추가된 양육 양식인 방임적 부모의 자녀는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고, 우울, 분노,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고, 독립심이 낮았습니다.


 이처럼 부모의 양육 양식이 자녀의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벨(R. Q. Bell, 1968)은 부모의 양육 양식은 자녀의 기질에 반응하여 정해지는 것이라서 부모의 양육 양식과 자녀의 성격과의 상관은 이제까지의 상식으로 받아들여졌던  것과는 반대로 해석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부모의 양육 양식과 자녀의 성격과의 상관은 특정의 양육태도가 특정의 자녀 성격 형성을 촉진한다는 방향이 아니라 자녀가 원래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질적 특징이 부모가 특정의 양육 양식을 가지도록 한다는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는 양방향의 영향관계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만 자녀의 성격이 유전적 소인에 의해 상당히 정해진다고 하는 것이 명확해진 것을 감안해보면 자녀의 성격이 부모의 양육 양식을 규정한다는 관점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브라젤톤(Brazelton, 1973)은 신생아의 행동을 평정하여 신생아의 안정적인 반응에 개인차가 있고 부모가 안아주는 것에 적극적으로 기뻐하며 반응하는 신생아들이 부모로부터 따뜻한 보살핌을 받기 쉽다고 생각했습니다. 코너(Korner, 1974)는 우는 방식(시간과 빈도)과 시각적 민감함에는 출생하면서 이미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것으로도 잘 우는 아이가 얌전한 아이보다 부모로부터 쉽게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신생아의 개성이 부모가 아이에게 쏟는 보육 행동을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Transaction-양육자와 아이의 상호적 영향관계-]

 

 어린 아기라고 해서 완전히 백지상태로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외적 환경의 경험이 거의 없는 신생아라도 행동의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그것은 기질이라고 구분합니다. 기질은 생득적인 것이면서 양육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기도 하고 또 이러한 개인차는 양육자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면 아이의 요구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때 맞추어 반응하지 못하는 민감성이 낮은 양육자라 하더라고 아이의 수면, 배뇨 등 생리적인 리듬이 규칙적이고 아이의 요구를 알기 쉬운, 즉 예측이 쉬운 기질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아이라면 민감성이 높은 양육이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애착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유아는 양육의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가 아니라 양육 관계는 나름 개성을 가진 아이와 또 다른 개성을 가진 부모와의 교류 프로세스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처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적 영향관계(Transaction)의 상태에 대하여 특히 인간의 부적응 행동의 기원, 발달과정, 발달에 따른 표현의 변화, 선행요인과의 관련성 검토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영역으로 발달 정신병리학이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인간의 부적응 행동의 기원과 형성의 프로세스 해명을 목적으로 부적응 출현 이전부터의 샘플을 추적하고 부적응 행동의 발달과 적응적인 행동의 발달, 양자를 비교합니다. 그럼으로써 부적응 발생의 위험인자뿐만 아니라 발생을 저지하는데 유효한 방어인자도 찾으려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공격성이나 반사회적 행동과 같은 외재적인 문제행동의 발달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호한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아버지에 관한 신뢰감과 애정이 유효한 방어인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간의 개인차에 대하여 입양아와 쌍둥이 등을 대상으로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밝히려고 한 인간 행동 유전학도 복잡한 Transaction을 명확히 하는데 공헌할 수 있는 학문 영역입니다. 일란성쌍둥이는 유전학적으로는 거의 100%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유전과 환경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할 때 매우 참고가 됩니다. 


 예를 들면 아동기에서 사춘기의 일란성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부모 양육 태도 척도(PBI: parental bonding instrument)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어머니에 의한 양육을 따뜻하다고 받아들인 경우는 부모에 대한 신뢰감이 높고, 지나친 간섭으로 받아들인 경우는 신뢰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동일 유전자를 가지고 동일 가정에서 자라서 성장과정이 비교적 비슷한 일란성쌍둥이에 있어서도 양육태도에 대한 인지가 다른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신뢰감에도 개인차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같은 집에서 자라난 일란성쌍둥이라 해도 부모의 양육을 각기 개별적으로 받아들이고 이것이 개인차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것은 어떤 아이에게도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만능 양육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인관계 심리탐구: 심리학적 이해 편 [목차] (brunch.co.kr)

대인관계 심리탐구: 상황과 관계 유형 편 [목차] (brunch.co.kr)

작가의 이전글 가족체계 이론으로 본 가족관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