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맨 Aug 04. 2020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9 PCT Thru-Hiker Survey (1)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The Annual Pacific Crest Trail
Thru-Hiker Survey (2019)


2019년 Halfwayanywhere에서 PCT 하이커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가 공개 되었다.

설문이 공개된지는 꽤 오래됐다. Halfwayanywhere의 설문은 여전히 전세계 많은 예비 PCT 하이커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이다. 한국인 하이커들에게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설문이 공개되자마자 하이커들이 출국하기 전에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짧은기간 집중해서 설문을 정리해왔다. 하지만 올해 2020년은 상황이 조금 달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2020년 PCT 하이킹을 준비하던 한국인 하이커들은 물론 전세계 대부분의 하이커들이 하이킹을 포기했다. 직접적인 도움이 될 하이커들이 거의 없다보니 공유를 하루이틀 미루게 되었고, 지금에 이르렀다.

전세계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2020년이다. 2021년에는 PCT를 걸을 수 있길 바라며 2019년의 PCT 설문 통계를 소개한다.

2019 하이커 설문에는 무려 846명의 PCT 하이커들이 참여했다. 설문 참여 하이커 규모는 설문이 처음 실시된 2014년의 106명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 처음으로 줄었다. 이후 2019년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하며 역대 최다 데이터가 모였다.(2018년 대비 68% 증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인 하이커의 응답은 여전히 '0'인 것은 매우 아쉽다.


**히맨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한국인 PCT 하이커 설문 통계는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2019 통계는 네이버 카페 '하이커스랩'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카페 가입 후 조회 가능합니다.


▼ 2015년 설문

2015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5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 2016년 설문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7년 설문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8년 설문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9년 설문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1. PCT 하이커 통계(성별/연령/국적)

(1) PCT 하이커 성별

남성 59.4%여성 40.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2018년 대비 여성 하이커의 비율이 소폭 줄어들었다.(2018년 남 57%여 43%) 2017년 이후 대략적으로 '남 여4'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남성 59.4% / 여성 40.0% / 기타 0.4%

- 전체 합계 100%에 0.2%가 누락되었다. 오기이거나 무응답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 PCT 하이커 연령

20대 하이커가 44.8%로 가장 많았다.

2018년의 48%에 비해 다소 하락했다. 30대 하이커의 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세부 나이 비율을 보면 20대 후반(30.1%)에서 30대 초반(17.9%)의 하이커가 가장 많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4세로 동일했던 평균 연령은 35세로 상승했다.



- 20대 미만 : 1.58%

- 20~24 : 14.70%

25~29 : 30.13%

30~34 : 17.86%

35~39 : 10.45%

40대 : 7.65%

50대 : 9.23%

60대 : 7.65%

>70대 이상 : 0.73%



(3) PCT 하이커 국적

PCT 하이커 비율 상위 7개국

(TOP SEVEN COUNTRIES)

1. 미국(USA) 67%

2. 캐나다(Canada) 5.9%

3. 독일(Germany) 5.6%

4. 영국(UK) 4.6%

5. 호주(Australia) 3.6%

6. 프랑스(France) 1.9%

7. 네덜란드(Netherlansds) 1.5%

8. 뉴질랜드(New Zealand) 1.3%

9. 이스라엘/스웨덴/스위스(Israel/Sweden/Switzerland) 1%


2019년.. 이번에도 역시 한국은 없다.

Australia, Austria, Belgium, Brazil, Brunei, Canada, China, Croatia, Czechia, Denmark, Estonia, Finland, France, Germany, Hungary, India, Ireland, Israel, Italy, Netherlands, New Zealand, Norway, Poland, Portugal, Russia, Slovenia, South Africa, Sweden, Switzerland, Taiwa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32 TOTAL)



2. 장거리 하이킹 경험

PCT를 통해 처음 장거리 하이킹을 경험하는 비율은 68%이다.(2018년 70%)


장거리 하이킹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나머지 32%가 다녀온 장거리 하이킹 코스 및 비율은 아래와 같다.

(2018년에 비해 더 다양한 트레일로 세분화 되었다.)

애팔래치아 트레일(Appalachian Trail, AT) 10.43% 

존 뮤어 트레일(John Muir Trail, JMT) 6.52% 

카미노 데 산티아고(Camino de Santiago) 6.28%

퍼시픽 크레스트 트레일(Pacific Crest Trail, PCT) 3.44% 

타호 림 트레일(Tahoe Rim Trail) 2.37%

테 아라로아 트레일(Te Araroa Trail) 2.37%

콜로라도 트레일(Colorado Trail) 2.01%

롱 트레일(Long Trail) 1.90%

GR20 1.66%

하이 시에라 트레일(High Sierra Trail) 1.18%

쿵스레덴(Kungsleden) 1.18%

콘티넨탈 디바이드 트레일(Continental Divide Trail, CDT) 0.95%

PCT 구간 하이킹(PCT Section Hike) 0.71%

뚜르 드 몽블랑 (Tour du Mont Blanc) 0.71%

퍼시픽 노스웨스트 트레일(Pacific Northwest Trail) 0.71%

애리조나 트레일(Arizona Trail) 0.36%

그랜드 인첸트먼트 트레일(Grand Enchantment Trail) 0.24%

플로리다 트레일(Florida Trail) 0.12%

기타 트레일(Other Trail) 9.24%


애팔래치아 트레일, 존 뮤어 트레일, 카미노 데 산티아고를 포함한 상위에 있던 모든 트레일들의 비율이 하락했다. 좀 더 다양한 트레일을 통해 PCT를 알게 되거나, PCT 준비 과정에서 경험한 트레일들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0%로 치솟았던 PCT를 다시 걷는 하이커의 비율은 3.44%로 다시 이전 수준으로 하락했다.



PCT를 위해 사전 훈련을 진행한 하이커는 전체의 63%이다.

나홀로 PCT를 출발한 하이커의 비율은 64.7%이다.

PCT를 혼자 걸은 시간은 전체의 60.2%

나홀로 야영을 하게 된 경우는 전체의 21.5%이다.


혼자 걸었다 64.7% / 친구와 함께 걸었다 15.0% / 배우자와 함께 걸었다 17.6% / 처음 만나는 사람과 함께 걸었다 2.7%




3. PCT 하이커들의 출발시기

(1) NOBO PCT 하이커

NOBO 하이커의 경우 평균 출발일은 4월 15일이다.

전년도와 비교하여 하루 당겨졌다.

*멕시코 국경 포스트가 있는 캄포(Campo)에서 캐나다 국경(Monument 78)으로 북쪽을 향하여 걷는 것을 NOBO(Northbound)라고 한다.

3월 : 5% / 4월 : 66% / 5월 : 28% / 6월 : 1% / 7월 : 1%

NOBO 평균 출발일(전체) : 4/15

NOBO 출발일에 만족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4/23

NOBO 더 늦게 출발했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4/4

NOBO 더 빨리 출발했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5/11

NOBO 케네디메도우즈에 도달한 평균 날짜 : 6/10

NOBO 케네디메도우즈까지의 하이킹 평균 소요일 : 55.7일

NOBO PCT 최남단(Southern terminus, Campo)에서 케네디메도우즈까지 하루 평균 운행거리 : 20.28km

NOBO 평균 출발일(미완주) : 4/13

NOBO 평균 출발일(완주) : 4/17

NOBO 평균 완주일 : 9/19

NOBO 평균 완주 소요일(2018 ▶ 2019) : 152일 ▶ 155일


출발일에 만족하는가? (그렇다 : 70.8%, 빨리 출발했어야 했다 : 19.8%, 늦게 출발했어야 했다 : 9.5%)


*케네디메도우즈(Kennedy Meadows)는 사막구간인 PCT 캘리포니아 남부 구간의 실질적인 마지막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다. 하이커들은 이곳에서 다음 설산 구간인 캘리포니아 중부 구간을 준비한다.


2018년 설문 통계의 케네디메도우즈를 떠난 평균 날짜는 6월 3일이다. 이를 통해 케네디메도우즈에 도달한 날이 6월 3일 이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위의 케네디메도우즈에 도달한 평균 날짜 6월 10일보다 최소 일주일 빠른 일정이다. 평균 출발일이 거의 같기 때문에 사막구간을 걸은 기간이 전년도보다 더 길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사막구간 하이킹 기간 변동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하이킹 시즌 직전 겨울 동안 쌓인 눈의 양(적설, 積雪)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2019년은 폭설로 인해 캘리포니아 중부 구간의 눈이 예년보다 많이 쌓여 있는 상태였다. 폭설 소식을 2019년 한국인 하이커 그룹을 통해 들을 수 있었고, 또한 히맨이 직접 설에 덮여 아예 보이지 않는 길을 걸으며 알 수 있었다.** 위험한 것은 물론 이정표 높이까지 쌓인 눈으로 전혀 길을 알 수 없어 GPS에 의존해 걸어야만 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하이킹을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선 쌓인 눈이 조금이나마 녹길 기다리거나 해당 구간을 건너 뛰어야 했다. 때문에 사막구간에서의 운행 속도를 늦추거나 중간 보급지에서의 길게 휴식을 가지면서 운행 기간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히맨's PCT 구간 하이킹(Kennedy Meadows~Mommoth Lakes), 2019/06/5~06/22



(2) SOBO PCT 하이커

SOBO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은 6월 27일이다.

*NOBO와는 반대로, 캐나다 국경(Monument 78)에서 캄포(Campo)를 향해 남쪽으로 걷는 것을 SOBO(Southbound)라 한다.

SOBO 평균 출발일(전체) : 6/27

SOBO 출발일에 만족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6/26

SOBO 더 늦게 출발했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6/24

SOBO 더 빨리 출발했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이커들의 평균 출발일 : 7/3

SOBO 완주자의 평균 출발일 : 7/4

SOBO 평균 출발일(미완주) : 6/29

SOBO 평균 출발일(완주) : 6/27

SOBO 평균 완주일 : 11/3

SOBO 평균 완주 소요일(2018 ▶ 2019) : 123일 ▶ 129일



4. PCT 완주자 통계

2019 PCT 하이커 설문 참여자들의 완주율은 57.26%이다.(NOBO 56.17% / SOBO 65.00%)

(2018년 78%)

완주자 평균 소요일(NOBO + SOBO) : 149일 ▶ 152일 

NOBO 평균 완주 소요일 : 155일

SOBO 평균 완주 소요일 : 129일

하루 평균 운행거리 : 29.4km ▶ 32.51km

하루 최장 운행거리 평균 : 63.65km ▶ 65.66km

평균 예비일(ZERO) : 17일 ▶ 18.2일

평균 NEAR-O : 16일 ▶ 15.09일

* 2018 ▶ 2019

* NEAR-O : 운행을 하기는 하지만 운행거리가 극히 짧은 0에 가까운 날을 'NEAR-O'라 한다.

기상상황과 하이킹 통제구간 등에 의해 2017년 48%까지 줄었던 완주율은, 76%의 완주율을 보였던 2016년 설문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 외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PCT협회(PCTA)의 PCT 완주자 리스트(2,600 miler list)에 등록된 하이커의 수는 2018년 1177명에서 2019년 919명으로 줄어들었다.(2020년 8월 4일 현재)

*완주자의 수와 발행된 퍼밋을 바탕으로 계산한 2019년 PCT 하이커들의 완주율은 16.9%이다.

(2018년 23.6%, 2017년 13.6%)


설문 참여 하이커 중 70.2%가 PCT를 모두 끊기지 않고 두 발로 걸었다.

1.0%는 산불로 인한 폐쇄 구간만을 건너 뛰었고, 21.1%는 크지 않은 거리를 건너 뛰었다. 6.1%는 히치하이킹으로 몇몇 작은 구간들을, 1.7%는 큰 구간을 건너뛰었다.


- 완주자 중 여러 구간을 오가며 운행한 플립플롭(FLIP-FLOP)하이커의 비율은 34.6%이다.

(NOBO 37.14% / SOBO 12.99%)

- 응답자 중 44.1%의 하이커가 휘트니 산 정상에 올랐다.(2018년 74.0%)

**폭설로 인해 휘트니 산 등정을 포기하는 하이커들이 매우 많았다. 히맨 또한 아쉽지만 안전을 위해 등정을 포기했다.(2019)




■ PCT 플립플롭(FLIP-FLOP) 사유

PCT를 연속적으로 이어걷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폭설 때문이었다.(85.7%)

폭설 : 85.7%/ 개인사정 : 4.9%/부상 : 3.8%/ 도하 : 1.9%/ 친구(파트너) : 1.9% / 트레일 행사 : 1.1%/ 비자 : 0.4%/ 날씨 : 0.4%

2018년(폭설 4%)에 비해 폭설의 영향이 압도적이며, 부상으로 인한 문제는 크게 줄었다.(2018년 21%)

많은 하이커들이 폭설로 인해 플립플롭으로 여러구간을 오가야 했고(45.4%), 한 구간을 건너뛰어야만 했다.(29.33%)

31.18%의 하이커들이 눈 쌓인 길을 경험한 적이 없었고, 18.01%의 하이커들은 상황에 맞는 장비가 없었다. 3.93%는 하이킹 일정을 미뤘다.



5. 다시 PCT를 걷고 싶은가?

80.6%의 PCT하이커들이 PCT를 다시 걷고 싶다고 했다.(2018년 81.0%)

*설문내용/이미지 : halfwayanywhere

<PCT 하이커 되기> 처음부터 보기


▼ 2015년 설문

2015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5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 2016년 설문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6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7년 설문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7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8년 설문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1)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8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 2019년 설문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2)

2019 연간 PCT 하이커 설문 (3)



20200804

by 히맨

히맨의 유튜브


매거진의 이전글 [북토크]길 위의 일상 : 히맨의 PCT 175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