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장금 Apr 13. 2020

고혈압약(심장약)의 3가지 원리와 부작용

고혈압약이 당뇨병, 통풍, 치매, 발기부전, 손발저림, 신장병을 일으킨다


부작용이 너무 많은 고혈압약을 끊고 식이 상담으로 고혈압 완치한 사례가 아래에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건강보조식품판매가 아닙니다. 식사만 조절하면 고혈압은 낫습니다. 대부분 한달이 안걸렸습니다.


https://brunch.co.kr/@himneyoo1/703

https://brunch.co.kr/@himneyoo1/813

https://brunch.co.kr/@himneyoo1/717

https://brunch.co.kr/@himneyoo1/615

https://brunch.co.kr/@himneyoo1/727

https://brunch.co.kr/@himneyoo1/592

https://brunch.co.kr/@himneyoo1/763

https://brunch.co.kr/@himneyoo1/959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다.


1. 심박수가 증가해서 심장에서 혈액을 많이 보내거나

2. 혈관속의 혈액량이 늘어나거나

3. 혈관이 좁아진 경우다.


따라서 혈압 강하제로 혈압을 떨어뜨릴 때(혈압약의 3가지 원리)는 반대로 한다.


1. 심장 박동수를 낮춘다.

심장이 천천히 뛰도록 해서 뿜어내는 힘이 약하게 한다. 심장을 커다란 집게로 누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베타차단제가 사용되며, 자율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심장 박동수가 수축력을 낮추고, 동맥을 이완시킨다.

베타 차단제의 주요 부작용 : 손발 저림, 수족냉증, 뇌기능 손상,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비염(비염 환자 투약금지조항 많음) 등

실제 등산을 다녀와서 사망한 사람을 부검했더니 심장 근육세포 내부에 비정상적인 액포가 가득했다고 한다. 이는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약이 심장근육을 뛰지 못하도록 만들어내는 액포다.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신체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심장이 팡팡 뛰어줘야는데 혈압약이 심장이 억지로 뛰지 못하게 하니 사망한 것이다.


나는 왜 영양제를 처방하는 의사가 되었나 / 여예스더



2. 혈관속 혈액량을 낮춘다.

대표적인 것이 이뇨제로, 수분과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하여 신체의 수분을 줄인다. 수분을 줄이면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면서 혈액량이 줄어들게 된다. 혈류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이뇨제의 주요 부작용: 변비, 탈수, 갈증, 근육 무기력증, 발기부전, 두통, 혈당상승(당뇨 발병율 매우 높음), 요산수치상승(통풍), 신장기능저하, 간성혼수, 안압상승, 녹내장, 수족냉증, 치매, 중풍 등

  

3.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혈관이 넓어지면 혈압이 내려간다. 좁은관보다 넓은관으로 혈액을 올려 보내기가 어렵기 떄문이다. 혈관을 넓히는 약으로 칼슘채널차단제와 ACE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칼슘채널차단제는 세포벽 내를 지나는 칼슘의 정상적인 통로를 차단한다. 칼슘을 차단하면 신경전도의속도가 늦춰지고 근육의 수축이 억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칼슘 차단제 주요 부작용: 팔다리 저림, 심한 권태감과 피로, 기립성 저혈압, 현기증, 안면홍조, 피부 알레르기, 식욕부진, 빈맥, 심장 두근거림, 빈뇨, 변비, 하퇴부종, 자궁수축력 감소, 심부전, 협싱증, 발기부전,


ACE억제제 주요 부작용 : 잦은 기침 만성기침 헛기침, 비염, 발진, 가려움, 식욕감퇴, 단백뇨, 입술과 인후두의 혈관 부종,  




도대체 병이 낫기 위해 약을 먹는 것인지,
병을 만들기 위해 약을 먹는 것인지 모르겠다.


당신이 먹고 있는 약을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제약회사에서 제공하는 약의 설명서가 나온다. 간단한 약의 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을 제외하면 모두가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너무 많아서 다 읽지도 못 할 정도며 5-6페이지를 넘기는 약도 수두룩이다. 꼭 한번 검색해서 비교해 보기 바란다.

 


혹시 약을 끊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도
갑자기 약을 중단하면 금단 증상 나타날수 있으니 서서히 끊어야 한다.
( 2일에 1번 1주일 / 3일에 1번 1주일 /4일에 1번 1주일 )

*약을 끊고 최장금 식이법을 하는 경우는 식이가 약을 대신하기 때문에 괜찮음.



혈압약의 공통적인 부작용


1. 신경 장애: 두통, 어지러움, 이명, 졸림, 불면증, 악몽, 전신권태, 말초신경장애 등
2. 순한기 장애: 안면홍조, 신열, 심장두근거림, 혈압저하, 부종, 흥분, 기립성장애, 빈맥, 서맥 등
3. 소화기 증상: 구토, 식욕부진, 갈증, 변비, 설사, 복통
4. 비뇨기 증상 : 크레아틴 상승(신장기능 저하), 성기능 저하
5. 그외: 간기능 저하, 결핵, 피부과민증, 가려움, 비염, 근육강직과 관절통, 수족냉증  


고혈압 치료, 나는 혈압약을 믿지 않는다 / 선재광/ 한의학박사/ 전나무숲


모두의 건강을 응원합니다.




최장금 식이요법 당뇨완치사례참고



https://brunch.co.kr/@himneyoo1/646

https://brunch.co.kr/@himneyoo1/874

https://brunch.co.kr/@himneyoo1/1012

https://brunch.co.kr/@himneyoo1/1035

https://brunch.co.kr/@himneyoo1/1036

https://brunch.co.kr/@himneyoo1/1033

https://brunch.co.kr/@himneyoo1/1060

https://brunch.co.kr/@himneyoo1/885

https://brunch.co.kr/@himneyoo1/1050

https://brunch.co.kr/@himneyoo1/1119


매거진의 이전글 여자는 콜레스테롤이 높아야 좋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