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9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그해 우리는 비퍼, 그러니까 삐삐를 썼다.

by Hyun Hyun Nov 30. 2024

1994년

    그해 우리는 비퍼, 그러니까 삐삐를 썼다. 나의 세 살 위 형은 재수생 시절 삐삐를 조르기 위해 거의 보름을 굶었다. 몰래 뭔가를 먹었을 테지만 어머니는 삐삐를 사주었다. 우리는, 우리라고 하는 건 내가 속한 세대가 그랬다는 뜻 - 뒷주머니에 삐삐를 차고 포장마차(실내 포장 아니고)에 앉아 부풀어가는 엉덩이에 밀려 삐삐를 잃어버리고는 했다. 이태원 광고회사 신입시절 사수 격이었던 오 차장이 회상하기를, 진탕 마신 다음날 광화문에서 택시를 잡다가 사타구니와 엉덩이에 통증을 느낀 나머지 아 하고 탄성을 지르며 자신의 짧은 운명을 점쳤다고… 물론 알고 봤더니 그것은 거대하고 강력한 모토로라 비퍼의 진동이었다. 우리의 멋은 누군가 나의 호출을 받고 메시지를 듣기 위해 사서함으로 전화를 걸었을 때 들리는 요즘의 컬러링 같은 음악 고르기였을 테다. 나는 굴드의 평균율 C장조 프렐류드 엘피를 녹음해서 사용했다. 그 스타카토가 제법 내 마음과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 호출 메시지로 들어가는 음악은 메시지 주인의 일상적인 감정이었을 것이다. 아무튼 우리는 모두 삐삐를 통했다. 나는 대체 삐삐를 가지고 무슨 삶을 살았을까? 지금 막 떠오르는 건 햄버거 가게 위에 있던 타워레코드에서 번스타인의 말러 중에 소니 시절의 말러 5번을 들었다 놨다 하는 내 모습 정도이다. 아, 그리고 삐삐시절 신입생 여자아이를 몇 번 찾아다니며 만난 적이 있다. 삐삐시절이었으니까 그 아이의 집 앞에 가서 소주 냄새를 풍기면서 주접을 떨었다. 삐삐가 준 만용이었을까? 우리는 소셜메신저가 아닌 행동으로 마음을 표현했다. 2층 동아리 방에서 뛰어내렸던가? 삐삐를 가지지 않은 사람들은 우리 아버지 세대가 있었고, 달리 또 삐삐를 가지지 않은 사람들은 휴대용 전화기를 가진 이들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교수의 방에서 인터넷메일을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북한과 폭염은 이 해에 내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김일성은 폭염 때문에 죽은 것인지 모르겠지만 죽긴 죽었다. 그날도 아주 더웠다. 북으로 조문을 간 사람들도 있었지만 나는 입대했다. 매 순간 물이 그리웠다. 세상의 입자적 본질은 물에 있을 거라고 훈련장에 공급된 물을 마시면서 중얼거리기도 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이전 17화 나는 무엇인가를 찾아 1994년으로 돌아가보기로 했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