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악수 레마' 시뮬레이션해 보기.
무방향 그래프의 차수 합과 간선 개수
0. 들어가며 무방향 그래프 G=(V, E)가 있을 때, 각 정점(vertex) v에는 차수(degree) d(v)가 정의됩니다. 이는 정점 v가 연결(incident)된 간선(edge)의 개수이죠. 이때, ∑v∈Vd(v)(모든 정점의 차수 합)을 구하면, 결과가 2×∣E∣(간선의 개수 ∣E∣의 두 배)와 정확히 같아진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왜 이
댓글
0
Jan 23. 2025
by
맷수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