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석혜탁 칼럼니스트 Jul 17. 2019

[글 보관 11일] 회사원이 된 우리 그리고 꿈

- 기타가와 에미,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中

[석혜탁의 글 보관 11일] 회사원이 된 우리 그리고 꿈 

- 기타가와 에미,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中


회사원에 대한 동경 따위 없었다. 하지만 열을 올릴 만큼 하고 싶은 일도 없었고, 어느새 주위 친구들과 마찬가지로 구직 활동에 애썼다. 

- 보관 출처 : 기타가와 에미, 추지나 옮김,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놀, 2016.

최근 발표되는 일본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식의 '유사성'을 느끼게 될 때마다 굉장히 곤혹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지원 동기'를 작성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역이겠는가.

한 군데라도 더 많이, 조금이라도 더 유망한 기업에 선택받는 것이 우리에게 최고의 지위에 오르는 일이었다. 

- 보관 출처 : 기타가와 에미, 추지나 옮김,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놀, 2016.

꿈, 적성, 가치관...다 영화 같은 소리다.

일단 옆에 있는 친구 녀석보다 더 좋은 기업에 '간택'받는 것, 이로써 우리의 인정욕구를 충족하는 것만이 지상 과제가 되었다.

몇 십 년쯤 뒤에 나도 저런 모습일까. 후줄근한 양복을 입고 좀처럼 만족하기 어려운 액수의 돈을 벌기 위해 계속해서 편도 두 시간 가까운 거리를 만원 전철에 실려 가야 하는 것일까. 

- 보관 출처 : 기타가와 에미, 추지나 옮김,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놀, 2016.

대부분은 '저런 모습'이 된다.

물론 요즘에는 '저런 모습'의 자리에 가는 것조차 이전보다 더 어려워졌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다. 

"옛날에 되고 싶었던 거? 뭐더라. 맨 처음에는 축구 선수였나. 너는?"
"나는 영화감독."
"와, 어른이었네. 난 초등학생 땐 만화영화밖에 안 봤는데."

남의 꿈을 들을 기회는 좀처럼 없다. 옛날 이야기라지만 작은 비밀을 공유한 것 같아 두근거렸다.

- 보관 출처 : 기타가와 에미, 추지나 옮김,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놀, 2016.

근래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본 적이 있는지 자문해본다. 

남의 꿈은 물론이거니와 나의 꿈이 무엇이었는지 체크해본 적이 언제였더라...


언제부터 꿈을 이야기하며 '실현 가능성'의 잣대를 들이대기 시작했을까.


자꾸 정색하며 현실적 요소를 운운하면, 

꿈을 꿈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지 않을는지.


실현이 되든 안 되든, 

꿈은 꿈 자체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꿈...

꿈? 

꿈!!!

 





https://brunch.co.kr/@hyetak/116

https://brunch.co.kr/@hyetak/117

https://brunch.co.kr/@hyetak/118

https://brunch.co.kr/@hyetak/119

https://brunch.co.kr/@hyetak/121

https://brunch.co.kr/@hyetak/123

https://brunch.co.kr/@hyetak/122

https://brunch.co.kr/@hyetak/124

https://brunch.co.kr/@hyetak/125

https://brunch.co.kr/@hyetak/126 



매거진의 이전글 [라틴음악 17일] Creo En T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