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글을 더 이상 구독하지 않고,
새 글 알림도 받아볼 수 없습니다.
분노, 알고 다루기
[분노, 알고 다루기] 목차
1. 분노의 정의와 이론적 관점 (brunch.co.kr)
2. 분노는 어떨 때 생기는가? (brunch.co.kr)
3. 분노가 일으키는 반응 (brunch.co.kr)
4. 분노를 터트린다는 것 (brunch.co.kr)
5. 분노를 억누른 다는 것 (brunch.co.kr)
6. 분노 표출 행동의 선택 (brunch.co.kr)
7. 분노를 적절하게 드러내는 것의 필요성 (brunch.co.kr)
8. 분노와 공격의 관계 그리고 남녀의 차이 (brunch.co.kr)
9-1. 일어난 분노를 조절하기(인지행동 중심) (brunch.co.kr)
9-2. 일어난 분노를 조절하기 (이런저런 방법들) (brunch.co.kr)
(참고) 분노와 분노 표현에 대한 심리학 연구 개관(요약) (brunch.co.kr)
억압은 혼란스러운 욕구들, 생각들, 혹은 경험들을 의식에서 제거함으로써 정서적인 갈등이나 스트레스에 대처하려 시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반면에 억제는 내면의 혼란스러운 갈등과 감정을 의식적으로 분명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러한 갈등과 감정을 외부로 표현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것을 말한다.
[스트레스에 관한 라자루스(Lazarus)의 이론- 참고용 인용글]
라자루스와 포크만(Lazarus & Folkamn, 1984)은 사람들이 상황을 평가할 때 1차 평가(primary appraisal), 2차 평가(secondary appraisal) 그리고 재평가(reappraisal)를 거쳐간다고 본다.
1차 평가는 더 중요하다는 뜻이 아니라 시간적으로 볼 때 최초라는 의미다.
스트레스적인 것은 상황의 세부적인 의미에 따라 상해나 상실(harm/loss), 위협(threat) 및 도전(challenge)으로 평가될 수 있다. 상해나 상실은 질병이나 사고와 같이 이미 발생해 버린 상황이라는 평가에서, 위협은 장차 있을 수 있는 위험의 평가에서, 도전은 자신이 하기에 따라서는 위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도 초래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데서 유래한다.
2차 평가는 스트레스적으로 평가된 상황에 대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대처 자원과 관련된 것이다. 1차 평가가 특정 상황이나 사건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것이라면 2차 평가는 “내가 이 상황이나 사건에 대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2차 평가에서는 흔히 세 가지 질문을 하게 된다. “내가 이용 가능한 대처 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내가 이런 대처 안들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그것이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줄 확률은 어느 정도인가” 등의 질문이 그것이다. 1차 평가에서 스트레스적으로 평가된 사건들은 2차 평가 과정을 통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재평가란 새로운 정보가 입수되어 평가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직한 사람이 입사지원서를 작성하고 면접을 하는 자신의 기술이 종전에 생각하던 것보다 높다거나 눈높이를 조금만 낮추면 재취업 시장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는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게 되면 스트레스 평가는 상당 부분 줄어들 수 있다. 물론 재평가가 스트레스를 늘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고 증가시킬 수도 있다. 종전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던 상황이 변화하거나 다르게 보이기 시작하면 위협적이거나 도전적인 양상으로 다가올 수 있다.
라자루스의 이론에서 중요한 또 다른 성분은 대처(coping)이다. 대처는 ‘자신의 자원에 부담을 주거나 자원을 압도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외적이거나 내적인 요구를 처리하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지적 및 행동적인 노력(Lazarus & Folkman, 1984)’으로 정의된다. 라자루스는 삶을 살아가는 동안 사람들은 누구나 스트레스를 겪을 수밖에 없고, 스트레스 자체보다 그 스트레스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대처의 효과가 어떠한가 가 건강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대처를 얼마나 잘하는가는 대처 자원과 이의 효과적 활용에 달려있다.
라자루스와 포크만은 의미 있는 대처 자원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고 있다.
① 건강과 에너지.
② 긍정적 신념.
③ 문제 해결 기술.
④ 사회적 기술.
⑤ 물질적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