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하당 Dec 05. 2021

나를 그려보는 시간

다섯 번째 디자인 미팅

다섯 번째 디자인 미팅.


대청의 창에서는 살이 사라졌고, 현관은 예쁜 문양의 창호로 교체되었다. 수많은 한식 창호 문양 중 숫대살이나 아자살이 가장 마음에 든다고 생각해왔었는데, 따로 명시해서 이야기한 적이 없음에도 미팅을 거듭하며 자연스레 건축주의 취향을 반영해 주는 게 참 매번 놀랍다. 트인 창호를 통해 마당이나 하늘을 양껏 눈에 담으면서도 살의 단정한 그림자를 함께 즐길 수 있기에 대청은 분명 아주 마음에 드는 공간이 될 것이다.  

빠위네 집, 선한공간연구소

서쪽 테이블 공간에서 침실로 이행하는 부분에는 단이 생겨났는데(침실이 높아진 셈), 이건 어찌할지 정말 고민이다. 생활하는 데 있어서는 단이 없는 편이 가장 안전하고 또 편리하겠지만, 어느 정도 입체적인 구조가 생김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시선이나 마음의 변화, 또는 재미 같은 것도 무시할 수 없으니 며칠 더 고민을 해봐야겠다. 


밖으로 달아낸 침실의 서쪽 창 같은 경우 창틀의 높이를 좀 더 낮춰서 "베이 윈도(Bay window)"처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정말 오래전부터 언젠가는 꼭 가지고 싶었던 요소다. 빠위 역시 즐겨 사용하는 공간이 될 거라 확신한다.  


마당에는 마사토를 깔고 싶다. 잘 다듬어진 석재로 포장을 하는 편이 여러 측면에서 가장 좋겠지만, 그건 좀 더 세련되고 깔끔한 집에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 뭔가를 심지 않고 계속 비워두더라도, 또 당분간 먼지가 좀 날리더라도, 우선은 마당에 흙을 담고 싶다. 


유명한 건축가의 건물 중 유독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작품은- 남양 성모성지 대성당, 삼성미술관 리움, 교보타워(강남)- 볼 때마다 목이 마르고 답답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건조해 보이는 색상의 벽돌과, 인지하기 어려운 창문의 크기 때문 아닐까 한다. 이런 이유에 더해서 구옥들을 수선할 때 바닥부터 지붕 밑까지 꽉 채워 마구잡이로 외벽에 쌓아대던 모습 때문에 붉은색 벽돌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외부 입면, 선한공간연구소

그런 이유로 외부 입면에서는 내적 갈등이 좀 있었다. 수선 지원금을 받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외벽에 '사괴석(四塊石)만은 쓰지 말자'라고 했던 터라 기대가 컸는데, 하필 적벽돌이라니! 하지만 시간을 두고 보다 보니 회벽과 목구조 그리고 지붕과 어우려 졌을 때의 조화가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무엇보다 지금의 이 집에 쌓여있는 적벽돌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니 그때부터는 매우 좋았다.   


그렇게 해서 완성된 빠위네 집의 기본설계. 뭔가 '이제부터 본 게임' 같은 느낌이긴 하지만 여기까지 잘 해왔으니 앞으로도 잘할 수 있지 않을까? 어차피 가진 건 공짜로 얻을 수 있는 용기밖에 없다. 계속 힘을 내보자. 


2021.05.21. 삼청동 한옥 매매 계약

2021.06.07. 설계예비계약: 선한공간연구소

2021.08.07. 정든 집을 떠나 사택으로 이사

2021.08.18. 측량일, 사전 미팅(1)

2021.09.02. 사전 미팅(2)

2021.09.06. 설계계약: 선한공간연구소

2021.09.30. 삼청동 한옥 중도금 지급 완료

2021.10.08. 첫 번째 디자인 미팅

2021.10.20. 가구 가전 사이즈 조사
2021.10.22. 두 번째 디자인 미팅

2021.11.04. 마지막 세입자분의 이사 

2021.11.05. 세 번째 디자인 미팅

2021.11.19. 네 번째 디자인 미팅

2021.12.01. 별채 돌아보던 날

2021.12.03. 다섯 번째 디자인 미팅


바이버리의 벽돌 건물(2019), Olympus OM-1/Kodak Gold 200


이전 13화 별채 구경하던 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