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영회 습작 Dec 09. 2023

아이와 순서화 학습 원칙을 시도해 보기

두 아들과 함께 배우기

<연도로 시작한 놀이가 몰입 효과를 알려 주다>에서 쓴 마지막 경험, 아래 사진에 담긴 그 기억이 아직 생생한 밤에 둘째 아이가 자기 전에 나폴레옹 책을 읽어 달라며 들고 왔습니다.

 

1789년 프랑스혁명

박문호 박사님의 영상을 자주 들은 탓에 '역사 공부를 위해 연도를 기억하라'는 메시지가 뇌리에 박혀 있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연도를 외울 것 같지 않던 차에 이 정도는 외울만하다 싶은 내용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프랑스혁명의 발발 연도입니다.

마침 789가 1씩 늘어나는 순열이어서 외우기도 좋아 보였습니다. 두 아들에게 아빠랑 같이 외워보자고 했더니 흔쾌히 수락했습니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난 후에 둘에게 물었더니 자신 있게 답하고 맞췄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1789가 나오는 역사책을 찾아보자고 제안했습니다.


1446년 훈민정음 반포

둘째가 적극적으로 나섰는데, 고구려나 고려 시대 책을 여러 권 고르다가 마침 세종대왕이 골랐습니다. 1789년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한글 반포 정도는 또 외울만하다고 생각해 아이들에게 권했더니 흔쾌히 수락했습니다.

1446년 세종 대왕의 나이 50에 훈민정음 반포를 했네요.


1789년 정조가 아버지 무덤을 수원으로 옮기다

1789년이 나오는 책을 또 고르는데 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아이가 재미를 잃기 전에 가이드를 제시하는 편이 좋겠다 싶었습니다. 마침 어제 읽은 올린 공대를 다룬 책 내용도 떠올랐습니다. 학생들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스캐폴딩을 제시한다는 내용이었죠. 아무튼 그러한 의도로 '정조'를 제안했는데, 당첨되었습니다.


12월이 되넜는데 아내가 달력을 안 뜯었다고 알려 주어서 달력 뒷면에 그간 아이들과 함께 외운 연도를 써 보았습니다. 바로 어제 아이들 자기 전에 읽어준 김구 위인전에 등장하는 1919년이 추가되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큰 애가 전봉준 위인전을 읽은 기억이 나는 지 추가하자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책을 들고 와서 1894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연도를 확인하고 이를 추가했습니다.


지난 두 아들과 함께 배우기 연재

1. 영어 문장 AI가 알아듣게 읽기 놀이

2. 다른 사람 마음은 짐작하지 말고 물어보기

3. 사전 보는 습관 아이에게 물려주기

4. 사전 보는 습관 아이에게 물려주기

5. 아이에게 직관적으로 식(式)을 느끼게 하기

6. 어떻게 하면 아미그달라를 이겨낼까?

7. 두 아이가 처음으로 그린 우리나라 지도

8. 아이의 자기 주도 학습을 도우면서 나도 배우기

9. 축구에 대한 흥미를 학습에 활용하기

10. 모방은 최고의 스승이니 모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11. 육아하며 배우는 반복과 모방의 힘

12. 지도와 지리를 연결하는 경험

13. 연도로 시작한 놀이가 몰입 효과를 알려 주다

14. 아이와 문제가 생기면 일단 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15. 밥 먹으며 했던 언어유희에 이어진 짧은 학습

작가의 이전글 담대한 변화를 만드는 스토리텔링의 힘(下)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