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석혜탁 칼럼니스트 Jul 31. 2019

[글 보관 20일] '피주체'의 대화방식이란?

- 김민섭, 《대리사회》 中

[글 보관 20일] '피주체'의 대화방식이란?

- 김민섭, 《대리사회》 中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에 이어 <대리사회>를 내놓은 김민섭 작가.


캠퍼스에서 논문에 파묻혀 지내던 그가

직접 대리운전을 하며 느끼고 겪은 이야기를 담았다.  


이 사회는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이다. 은밀하게 자리를 잡고 앉은 '대리사회의 괴물'은 그 누구도 온전한 자기 자신으로서 행동하고, 발화하고, 사유하지 못하게 한다. 모두를 자신의 욕망을 대리 수행하는 '대리인간'으로 만들어낸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들에게 주체라는 환상을 덧입힌다. 자신의 차에서 자신의 의지에 따라 운전하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

슬픈 은유다.


어쩌면 더 문제는 이 살풍경한 대리사회에서

'주체라는 환상'에 미혹되는 것일 게다.

타인의 운전석, 말하자면 우리 사회 어디에나 있을 '을의 공간'은 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할 존재를 위축시킨다. 그래서 결국 어느 대화에 주체로서 참여할 수 없게 만든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을'이 할 수 있는 것은 대답뿐이다.


그 대답의 범위 역시 제한적이다.

'갑'의 심사를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


특히 정치, 종교 얘기에서

반론을 펼칠 권리 따위란 존재하지 않는다.  

 

주체와 주체가 아닌, 주체와 피주체의 대화는 일방적이다. 여기에는 듣고 말하는 행위만 남고 중간의 과정은 모두 생략된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을'은

즉, '피주체'는 감히 대화를 이끌고 간다는 생각조차 해선 안 된다.

이런 대화에서 사유와 진정성은 휘발된다.

을의 앞을 막아서는 것은 또 다른 을이다. 반드시 폭언이나 폭력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전쟁의 수행자가 된다. 내 주변의 목소리를 외면하거나 그와 나 사이에 선을 긋는 것 역시, 갑의 욕망을 대리하는 행위인 것이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갑의 욕망을 대리하는 을들의 전쟁.


혹은 '을a'의 '을b'에 대한 폭력,

이는 곧 프란츠 파농(Frantz Fanon)이 말한 수평폭력이 아니던가.

분노는 주변의 을이 아닌 저 너머의 갑을 향해야 하고, 공고하게 구축된 시스템에 닿아야 한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을은 계속해서 동원되고 희생될 것이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늘 많이 보게 되는 풍경이다.

씁쓸하다.


'갑'은 이런 메커니즘을 냉철히 인식하고,

을들 간의 쟁투를 이용해 '분할통치(divide and rule)'에 나선다.

이 역시 항시 되풀이되는 장면이다.

그러나 간편함에 이끌려 사람을 상상하는 법을 잊게 되면, 그 역시 기계가 되어버린다. 타인의 처지에서 사유하거나 공감하지 못하고, “여기에 사람이 있어요”라는 누군가의 절망에도 무뎌지게 되는 것이다. 오늘도 기계들의 밤이 열린다. 하지만 그 누구도 기계가 아니다. 나는 ‘지문’이 있는 한 인간으로서 그 밤을 걷는다. 이 거리에, 사람이 있다. - 김민섭, 《대리사회》 中

사회문화평론가로서 김민섭 작가가 보여주는 어떤 일관된 태도가 있다.


인간에 대한 존중.


지문이 있는 우리 모두가 잊고 있던 지점을

이번에도 김민섭이 호출해내는 데 성공했다.


그의 말마따나

"그 누구도 기계가 아니다."






다른 작가님들보다 늦게 합류했던 공동 매거진 <하루 20분 나는 한다>

부족하게나마 '글 보관 20일'을 채웠습니다.

서로의 20분을 지켜보고 응원해준 작가님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https://brunch.co.kr/@hyetak/116

https://brunch.co.kr/@hyetak/117

https://brunch.co.kr/@hyetak/118

https://brunch.co.kr/@hyetak/119

https://brunch.co.kr/@hyetak/121

https://brunch.co.kr/@hyetak/123

https://brunch.co.kr/@hyetak/122

https://brunch.co.kr/@hyetak/124

https://brunch.co.kr/@hyetak/125

https://brunch.co.kr/@hyetak/126

https://brunch.co.kr/@hyetak/127

https://brunch.co.kr/@hyetak/129

https://brunch.co.kr/@hyetak/132

https://brunch.co.kr/@hyetak/130

https://brunch.co.kr/@hyetak/133

https://brunch.co.kr/@hyetak/134

https://brunch.co.kr/@hyetak/135

https://brunch.co.kr/@hyetak/136

https://brunch.co.kr/@hyetak/138




매거진의 이전글 [하루 20분 16일] 생각 없이 웃기로 하였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