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영회 습작 Dec 22. 2023

자신을 알고 프로덕트 비전을 팀에 전파하기

<프로덕트 리더십>을 읽고 생각 정리하기

지난 글에 이어 <프로덕트 리더십>의 6장 '스타트업 조직' 중에서 '자신을 아는 것' 그리고 '프로덕트 비전과 전략과 전술의 연계'를 소화하며 쓴 지식 기록입니다.


문화, 직면 그리고 인내심

개발자로서 레거시 시스템을 다뤄본 경험 덕분에 다음 문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기존 팀을 채택하거나 기존 팀에 합류하는 것은 문화 스타일을 합병하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리더에게 요구되는 덕목을 설명하는 내용을 보니 제가 자주 떠올리는 단어인 '직면(直面)'을 떠올리게 합니다.

리더에게는 팀의 강점을 파악하고 인내심, 하드 스킬, 소프트 스킬 중 무엇이 부족한지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더하여 리더의 필수 소양은 인내심이란 생각이 들게 하는 문장입니다.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고 나와 주변 사람의 발전을 지켜보면서 인내심이 점점 중요해졌다. 특히 프로덕트 매니저에게는 더 중요하다. 인내심이 기능을 개발해서 출시하고 다시 다음 기능을 개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스스로에게 프로세스와 사람들에 대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공감할 수 있던 것은 운 좋게 중국에 있으면서 인내심을 키운 덕분입니다. 그때 저의 동반자가 보이차였는데, 함께 차를 마시며 시간을 보낸 멘토와 보낸 시간 때문에 제가 보이차를 좋아하는 것으로 착각하던 시절이었죠.

환경이 바뀌고 보이차를 다시 시도해 보니 그때 제가 즐겼던 것이 차가 아니고, 사실을 함께 시간을 내어 공감하는 대화를 나누던 시간이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프로덕트 비전과 전략과 전술의 연계

다음 문장을 읽자마자 과거에 드러커의 문장을 처음 읽었을 때 사무쳤던 느낌을 연상합니다.

모든 조직과 리더의 가장 큰 과제는 비전과 일상 업무를 연계하는 것이다.

드러커에 따르면 경영자는 생명력의 원천이 되어야 합니다.

개인 경영자(manager)는 모든 종류의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생명력의 원천이다. 경영자의 리더십이 없다면 모든 "생산요소"는 단지 자원 그 자체로서 머무를 따름이므로 결코 생산물이 될 수 없다.

훨씬 더 세월이 지나 쓰인 내용이고 스타트업 프로덕트 매니저의 맥락으로 쓰였지만, 일맥상통하는 문장이 등장합니다.

리더에게 중요한 과제는 모든 사람이 전략적 비전을 인식하고, 비전에 기초해 전술적 선택과 의사 결정을 하게 하는 것이다. <중략> 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비전과 전략이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질문으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이 단락은 마치 비노드 코슬라가 언급한 '올바른 계획을 세우고 이를 반복하는 팀'을 만들기 위한 지침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한편, 책의 다른 구절을 여기에 끼워 넣어도 내용이 잘 이어집니다.

최소한 프로덕트 리더와 팀은 직접적으로 비전에 영향을 끼쳐야 하고, 비전은 업무 수행을 위한 기반이 돼야 한다.


피터 드러커의 새로운 제조업 이론과 단위 경제

그리고 다음 문장은 드러커의 새로운 제조업 이론이 주었던 충격을 소환하는 내용입니다.

프로덕트 리더에게는 모든 사람을 비전으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비전과 전략이 현실에 기초해야 한다. 한마디로 전략이 단위 경제에 묶여야 한다는 의미다. 단위 경제를 이해하려면 먼저 누구의 행동을 측정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취득 원가Cost of acquisition로는 취득 가치, 장기 취득 요건을 파악할 수 없다. 취득 원가는 단순히 재정적인 비용만을 암시한다. 고객을 이해하는 단계는 많은 스타트업 프로덕트 리더가 무언가를 측정하기 위해 서두르다가 생략하는 단계다.

‘단위 경제’가 무엇인지 관심을 갖게 합니다.



지난 <프로덕트 리더십>을 읽고 생각 정리하기

1. 프로덕트 리더십은 무엇을 다루는가?

2. 프로덕트 관리의 역할과 기원은 무엇인가?

3. 프로덕트 리더십이 중요한 이유

4. 프로덕트 매니저의 가장 어려운 역할

5. 프로덕트 비전을 향해 협업하는 팀 구축

6. 출시를 통한 배움 그리고 프로덕트 비전 설정

7. 프로덕트 비전에서 프로덕트 전략으로 전환

8. 프로덕트 전략에서 프로덕트 로드맵으로

9. 고객 문제에 집중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10. 로드맵 전환 과정에서 모호함 다루기

11. 프로덕트는 팀 스포츠다

12. 발견과 전달의 균형 그리고 리더의 언어

13. 프로덕트 리더의 성공을 위한 공식

14. 프로덕트 리더 채용하기

15. 프로덕트의 전략적 로드맵을 만드는 균형 잡기

16. 실제 비용과 가치 검증은 프로덕트 릴리즈 이후 발생

17. 접시 돌리기는 접시를 깨면서 배울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그위’에 자리한 것으로서 말과 그 쓰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