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영회 습작 Dec 22. 2023

‘그위’에 자리한 것으로서 말과 그 쓰임

‘그위’에 자리한 것으로서 말

이 글은 지난 2021년 12월 29일 최봉영 선생님이 페북에 쓰신 글 <사람이 말로써 뜻을 사무침>중에서 <

1. ‘그위’에 자리한 것으로서 말>을 바탕으로 스스로 묻고 따져 풀어보는 내용입니다.


‘그위’에 자리한 것으로서 말

얼마 전에도 살펴본 <그위란 무엇인가?>를 소환하는 문장입니다.

01. 사람들은 마음에 있는 뜻을 밖으로 드러내어 또렷하게 주고받기 위해서, 말을 만들어 쓰게 되었다.

그위란 표현을 자꾸 볼수록 어쩐 일인지 '이데아'가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위키백과 풀이 일부입니다.

이데아론은 플라톤이 처음 주장한 형이상학 이론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데아론에서 이데아는 현상 세계 밖의 세상이며 이데아는 모든 사물의 원인이자 본질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데아론'에 대응하는 영문 페이지는 바로 'Theory of forms'라는 사실입니다. 서양 철학으로 흘러가지 않기 위해 여기까지만 조사합니다.


다시 제가 쓴 글을 찾다가 <그 위에 속하는 말을 알기>에 요긴한 그림이 있습니다. 무려 작년 1월이니까 22개월 전에 메모한 내용을 다시 그린 것입니다. 기록이 아직은 기억으로 자리하지 못했네요.

다시 보니 이때도 박문호 박사님이 현상적 세계를 설명한 내용이 있습니다. 다만, 표현이 조금 달랐을 뿐인데, '현상적 세계'에 대한 이해도 역시 22개월 사이에 성숙했습니다. 이제는 제 분야에 해당 개념을 응용하는 단계니까요.


바탕을 같이 하는 관계로 또렷해지는 말

다음은 녀김이 허구까지 녀길 수 있게 해 준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문장입니다.

02.
사람들은 뜻을 또렷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말을 만들어 쓰게 되자, 온갖 것을 묻고 따져서 갖가지로 생각을 펼치게 되었다. 사람들은 실상(實相)의 것을 생각하는 것을 넘어서 상상(想像)의 것을 생각하는 일, 공상(空想)의 것을 생각하는 일, 망상(妄想)의 것을 생각하는 일까지 아울러 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뜻을 또렷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말'이라는 문구에서도 떠올릴 수 있는 내용이 꽤 있습니다. <단위로 읽는 세상>에서 배운 단위가 만들어지는 배경이 먼저 떠오릅니다. 무언가 나누려면 경계와 단위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말은 양으로 측정하는 것은 아니기에 단위를 대신할 말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미 지난 글에서 묻고 따지는 과정에서 그림까지 그린 바 있습니다.

말의 탄생: 녀겨서 니르기

'온갖 것을 묻고 따져서 갖가지로 생각을 펼치게 되었다.'라는 무구를 보면 절로[1] <말의 탄생: 녀겨서 니르기> 내용이 떠오릅니다. 먼저, 녀김의 산물로 말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앞서 말한 대로 그위를 같이 한 상태(겨레말을 쓴다는 전제로)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대화를 나눕니다. 녀겨서 니르기가 임자들 사이에서 오가는 현상을 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주석

[1] 근자에 묻고 따진 일 때문에 절로 벌어졌음을 의미합니다.


지난 묻따풀 2023 연재

1. 한국말에서 위함과 바람과 꾀함과 보람

2. 욕망하는 두 개의 나: 온인 나와 쪽인 나

3. 사람으로 살아가는 네 가지 일

4. 두 가지 온인 나 그리고 쪽인 나로 살필 여섯 가지

5. 사람들이 한국말로써 세상을 담아내는 방식

6. 사람들이 영국말로써 세상을 담아내는 방식

7. 한국사람에게 힘은 무엇을 말하는가?

8. 영국말로 세상을 담아내는 방식을 활용해 보자

9. 영국말에서 있음, 꼴됨, 이됨, 일됨 살펴보기

10. 언어에 대한 일반이론

11. 한국말은 어떻게 나눠지는가?

12. 한국말에서 문장은 곧이말을 풀어내는 것이다

13. 한국말에서 자유란 무엇인가?

14. 한국사람에게 사람이란?

15. 한국사람에게 나 그리고 인간(人间)은 무엇인가?

16. 한국사람이 임자로 살아야 하는 이유

17. 언어로 빚는 살리는 힘을 조직하는 능력

18. 한국사람에게 사람됨이란 무엇인가?

19. 사람됨 안에 쌓이고 녹아 있는 문맥

20. 줏대와 잣대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 보기

21. 사회적 성공과는 기준이 다른 줏대

22. 줏대와 잣대로 삶의 순간들을 차려 보자

23. 한국말에서 사람됨과 인성, 인품, 인격

24. 사람됨의 줏대 : 주관(主觀)

25. 줏대를 펼쳐서 누리는 힘 : 권리(權利)

26. 보편적인 인권 그리고 내 삶의 균형

27. 사람의 구실 : 자격(資格)에 대한 묻따풀

28. 우리가 인지조차 못하는 인격에 대한 욕망

29. 인격을 존중하거나 무시하는 일

30. 대한민국에 인격 차별이 존재하는가?

31. 인격 차별이라는 유산과 수평적 소통

32. 사람답게 살아야 하고, 사람다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

33. 존비어체계와 민주적 인간관계의 충돌(上)

34. 존비어체계와 민주적 인간관계의 충돌(下)

35. 사람이 눈으로 무엇을 보는 것

36. 사람은 어떻게 말이 뜻을 갖게 만드는가?(上)

37. 사람은 어떻게 말이 뜻을 갖게 만드는가?(下)

38. 사람이 떡을 먹는 일로 시작하는 바탕 차림 공부

39. 나-나다, 너-넘다, 그-긋다 그리고 한다의 바탕 차림

40. 대부분 몰랐던 한국말의 놀라운 바탕

작가의 이전글 목적 지향적 조직의 시대 그리고 3가지 유형의 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