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따풀 2023
스스로 줏대와 잣대에 대해 묻고 따져 보았는데요. 다시 돌아가서 <사람됨 안에 쌓이고 녹아 있는 문맥>에서 마치지 못한 최봉영 선생님의 사람됨에 대한 풀이를 이어서 묻고 따져 풀어 보기로 합니다.
다음은 인성에 대해 최봉영 선생님이 쓰신 글입니다.
살림살이의 임자인 사람들은 저마다 사람됨의 밑바탕을 갖고 있다. 사람들은 저마다 갖고 있는 사람됨의 밑바탕을 인성(人性)이라고 말해왔다. 사람들은 사람됨의 밑바탕인 인성을 밑천으로 삼아서 온갖 것을 느끼고, 알고, 바라고, 이루는 일을 꾀하면서 나름의 성질(性質)을 갖게 된다. 사람들은 낱낱의 사람이 갖고 있는 나름의 성질을 개성(個性)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갖고 있는 개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사람은 저마다 나름의 개성을 가진 존재로서 함께 어울려 살아가게 된다.
돌아보면 꽤 오랜 시간을 '옳고 그름이라는 분별' 속에 살도록 강요받은 듯도 합니다. 스스로 이를 깨우쳐서 다르게 살려고 노력한 덕분에 물끄러미 아이를 바라보며 그의 개성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내 모습을 기억하기 위해 찍어둔 사진과 글이 있습니다.
개성은 하나의 발현(instance)이라면 그 유형을 인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성의 사람의 바탕을 이룹니다.
바탕 위에 쌓인 것을 인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최봉영 선생님의 글입니다.
살림살이의 임자인 사람들은 저마다 사람됨의 됨됨이를 갖고 있다. 사람들은 사람됨의 바탕인 인성을 밑천으로 삼아서 온갖 것을 느끼고, 알고, 바라고, 이루는 일을 꾀하면서 저마다 나름으로 사람됨의 됨됨이를 갖게 된다. 사람들은 저마다 갖고 있는 사람됨의 됨됨이를 인품(人品)이라고 말해왔다.
품(品)자 탓인지 나도 모르게 상품이 함께 떠오릅니다. 사람이 만들어 낸 모습 역시 물건처럼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타인의 잣대로 평가할 수 있는 보이는 모습을 인품이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인품에 대해 평할 수는 있으나 두 가지 문제가 있는 듯합니다. 그에 대해 풀어내기 전에 다시 최봉영 선생님의 설명을 보겠습니다.
인품은 마음의 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바깥에서 알아보기 어렵다. 이런 까닭으로 사람들은 인품을 대충 좋은 것과 좋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서 “그는 인품이 좋다.”, “그는 인품이 좋지 않다.” 따위로 말한다. 사람들은 낱낱의 사람이 갖고 있는 나름의 인품을 성품(性品)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성품에 대해서 “성품이 좋다.”, “성품이 좋지 않다.”, “성품이 나쁘다.”, “성품이 착하다.”, “성품이 사납다.” 따위로 말한다. 사람들이 저마다 갖고 있는 나름의 성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수긍이 가는 설명입니다. 제가 타인의 잣대로 평가하는 인품의 한계에 대해 생각한 내용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최봉영 선생님은 '인품은 마음의 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바깥에서 알아보기 어렵다'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잘 차려져서 만들어 갈 수도 있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에 절로 만들어지기도 하는 내용입니다. 줏대와 잣대가 작용할 수 있으나 매번 그 일관성을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런 동적인 현상을 다른 사람이 관찰하여 인품을 말할 때는 또 다른 제약이 있습니다. 관찰자의 잣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됩니다. 따라서, 여러 사람의 의견이 합일되려면 모호한 형태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시 최봉영 선생님의 설명입니다.
살림살이의 임자인 사람들은 저마다 사람됨의 차림새를 갖고 있다. 사람은 사람됨의 바탕인 인성을 밑천으로 삼아서 온갖 것을 느끼고, 알고, 바라고, 이루는 일을 꾀하면서 저마다 나름으로 사람됨의 차림새를 갖추게 된다. 사람들은 저마다 갖고 있는 사람됨의 차림새를 인격(人格)이라고 말해왔다. 사람들은 인격을 바르게 갖추려고 염치, 예의, 예절, 체면, 체모 따위를 차리고자 한다. 이 때문에 인격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은 염치, 예의, 예절, 체면, 체모 따위를 차리는 일에 힘을 기울이지 않는다.
흔히 쓰던 말인데, 이렇게 묻고 따져 보니 인성이나 인품에 비해 모호하게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의 글을 읽어 보니 '격이 차림새다'하는 메시지가 유독 도드라지게 느껴집니다.
다음 문장을 읽어 보니 조금 나아지는 듯합니다.
인격은 밖으로 드러나는 사람됨의 차림새이기 때문에 바깥에서 또렷이 알아볼 수 있다. 사람들은 인격을 자질(資質)과 품격(品格)으로 나누어서 “그는 고상한 인격을 가졌다.”, “그는 고매한 인격을 가졌다.”, “그는 뛰어난 인격을 가졌다.‘, ”그는 인격이 높다. “, “그는 인격이 별로다.”, “그는 인격이 개차반이다.”, “그는 인격자가 맞다.”, “그는 인격자이다.”, “그는 인격을 존중한다.”, “그는 인격을 무시한다.”, “그는 인격을 차별한다.”, “그는 인격을 모독한다.” 따위로 말한다. 사람들은 낱낱의 사람이 갖고 있는 나름의 인격을 성격(性格)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저마다 갖고 있는 나름의 성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런 까닭으로 사람들은 성격을 말할 때, “누구와 누구는 성격이 다르다.”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하게 되고, “누구와 누구는 성격이 비슷하다”라는 말을 가끔 하게 되고, “누구와 누구는 성격이 같다.”라는 말은 거의 하지 않게 된다.
인품에 잣대를 대입하여 풀려고 했는데, 잣대를 대입하여 인품을 묘사하는 차림새가 인격일 수 있다는 데에 생각이 미칩니다.
4. 두 가지 온인 나 그리고 쪽인 나로 살필 여섯 가지
10. 언어에 대한 일반이론
11. 한국말은 어떻게 나눠지는가?
13. 한국말에서 자유란 무엇인가?
14. 한국사람에게 사람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