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lato Won Aug 14. 2018

2. 시대적 배경, 계몽사상

패럴랙스 인문아트 시리즈 4편 루소의 사회계약론

패럴랙스 인문아트 추상화
단두대에서 이슬로 살아지는 루이 16세 ,짐이 곧 국가다

"나의 왕국을 무너뜨린 놈은 볼테르와 루소 두 놈이다"


프랑스 대혁명으로 바스티유 감옥에 갇혀 단두대의
이슬로 살아진 루이 16세가 대표적인 계몽사상가인
프랑스 사상가 볼테르와 루소를 원망하며 던진 한탄의
외마디다.


이 외마디 외침으로 우리는 계몽주의 사상이 어떻게

18세 유럽을 변화시켰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짐이 곧 국가다"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
왕이 절대 권력을 장악했던 절대 왕정기 시대

18세기 프랑스,

왕과 성직자, 귀족이 국토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민들을 착취하며, 사치를 일삼고 있었던 프랑스

정치상황.


권리 없이 의무만 주어진 대다수 민들,

프랑스 민들은 참아야 하는가?

세상을 바꾸어야 하는가?


철학의 메인 주제는 정의고, 정의는 공정한 분배이다.

권리와 의무의 균등 관계가 무너진 18세기 유럽,
그 중심에 프랑스가 있었다.

계몽사상을 접한 프랑스 민들의 의심과 불만은

극으로 치닫고 있었고, 그렇게 프랑스는 계몽사상의 발상지가 되었다.


계몽이란 Enlightenment,
밝게 비추어 깨우친다는 의미 아니던가.

무엇으로 비추는가?

인간의 이성으로, 합리적 사고로,


무엇을 비추는가?

인간이 가진 무지를, 미신을, 낡아 빠진 제도가 가진 

모순과 비극을 비추어 마침내
깨부수는 것이 계몽 정신이고 계몽사상이다.


"타락한 교회와 낡아 빠진 제도를 비판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라고 역설한 프랑스 문학가 볼테르,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지만 도처에서 쇠사슬에
묶여있다.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 인간은 왜 불평등해지는가? 국가는 도대체 어디에서 왔는가"
라고 의문을 제기한 프랑스 천재 사상가 루소,


"권력은 자연적으로 썩어 부패가 필연이므로

권력은 분산되어 행사되어야 한다"는 삼권분립
이론을 최초로 주장한 프랑스 철학자 몽테스키외,


이러한 대표적 계몽 사상가의 문제 제기와 뉴턴과 같은
과학자들의 과학혁명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접하게
된 프랑스 민들은 자연히 '귀족들은 왜 특권을 가져야 하는가, 세상은 왜 이렇게 불평등하게 주어졌는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바꿀 수는 없는 것인가,
진보란 불가능한 것인가'라는 강한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계몽주의 사상이 스며든 프랑스 전역에서는
절대 군주제와 신분제를 당연시하던 고정관념을
허물게 되면서 시민들이 직접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시민혁명으로 발전한다.


1789년 7월 14일 프랑스 대혁명은 발발하고

자유와 평등을 갈망하던 시민들은 절대 권력을
상징하던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여 승리를 거둔다.


1789년 8월 29일 혁명의 결과물인 프랑스 인권
선언문은 채택되고 드디어 민주주의 정신은 명시적인 선언문으로 세상에 표출되었다.


제1조,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평등할
              권리를 갖는다.

제2조, 모든 정치조직은 인간의 천부적이고 소멸될 수

             없는 권리를 지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제3조, 주권은 본질적으로 국민에 있다. 어떠한 단체나

             개인도 국민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부여받지 않은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제11조, 사상과 의견의 자유로운 소통은 인간의 가장

               소중한 권리 중 하나이다.


"민주주의라는 나무는 피를 먹고 자란다"라고 이야기 한

미국 독립선언문의 작성자이자 정치가인 토마스 제퍼슨
이나, "권리는 그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투쟁을 통해서  쟁취하는 것이다"라는 독일 법철학자 예링의 말처럼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는 그저 얻어진 결과가
아닌 긴 투쟁을 통해 쟁취한 피 흘린 고통의 산물이다.


계몽사상이 좁게는 18세기 프랑스 계몽운동으로
한정해서 해석될 수 있으나, 크게 보면 영국의 경험론과 독일의 관념론까지를 아우르는 사상운동을 포함한다.
 
유럽 전역에서 전개된 이성적 사고를 통한 부조리한 정치, 경제, 사회, 과학 전반에 대한 비판적 사고, 타파
운동 전체가 계몽사상이라 말할 수 있다.

이성에 근거한 합리적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전개한 당시 프랑스 이성의 시대, 비판의 시대였다.


18세기 계몽주의 사상은

당시 노동자나 여성의 인권은 무시하고 

특정 시민계급 만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은 남으나 ,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 평등사상과 민주주의 개념의 근간을 이루는

뿌리가 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이

자리 잡고 있다.


  ᆢPlato Won



인문학과 추상화의 만남..

Parallax 人文Art

 

루소 사회계약론 목차

 

1. 사회계약론 개요  

2. 시대적 배경, 계몽사상

3. 프랑스 대혁명과 나폴레옹 등장 

4. 영국 혁명과 미국 독립선언문 

5. 사회 계약설 비교 ᆢ홉스, 로크, 루소 

6. 계몽주의의 반항아 장 자크 루소 

7. 교육철학은  에밀에서 비롯되어 에밀로 끝난다 

8. 정치는 시민의 의무이자 권리 

9. 국가와 국민은 사회계약관계에 있다 

10. 루소의 일반의지란? 

11. 자연 상태와 사회 상태에서의 인간 

12. 사유재산에 대한 루소의 생각 

13. 주권은 양도할 수도, 분할할 수도 없다. 

14.法은 일반의지의 기록 

15. 법 위에 상위  

16. 정부는 일반의지의 실행기관일  

17. 가장 이상적인 정치체제는? 

18. 입법권은 국가의 생명 

19. 독재자는 시민의 휴식을 원한다? 

20. 국민은 국가에 대해 저항권을 가진다

21. 대중주의는 위험하다 

22. 종교에 대한 루소의 생각 

23. 대외 관계에서 국가를 지키는 것이 최우선 

 

 

Plato Won 브런치 홈으로

 



작가의 이전글 1. 인간 정신에 가장 큰 힘이 되는 책, 사회계약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