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은 영원히 머무르는 곳이 아니라, 언젠가는 독립해야 할 곳이다.
내가 회사를 나오기 전에 마지막으로 챙겼던 복리후생 항목은 건강검진이었다. 회사를 다닐 때에는 매년 가을 무렵에 받았는데, 회사를 나올 때가 2월이라 몇 달 지나지 않아 또 검진을 받은 셈이었다. 내 돈으로 다음 해 가을에 받을 수도 있었지만, 공짜로 받는 혜택을 굳이 버리고 싶지 않았다. 물론, 공짜라기보다는 회사에서 검진 비용을 대신 내주는 것이라고 하는 게 정확하다. 검진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도 다시 점검했는데, 회사를 그만두면 내 수입이 어찌 될지 불확실했고, 신용도 하락에 따라 카드 발급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신분이 확실한 직장인일 때 준비해 두자는 것이었는데, 그렇게 점검을 하다 보니 이미 마음은 광야의 한가운데 홀로 있는 기분이었다.
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부분 선호하는 안정적인 "대기업 직장인"으로 20년을 지냈다. 오랫동안 직장인으로 생활이 몸에 배어있던 터라, 직장이라는 둥지를 벗어났을 때 어떤 점이 달라질까 상상해 보는 게 어려웠다. 가장 큰 걱정인 예상 수입은 여러 번 시뮬레이션해보았고, 모든 것을 나 혼자 해결해야 한다는 각오를 몇 번이고 다짐했다. 나름대로 수년간 준비하고 고민해온 나도 두려움이 있는데, 회사에 남아 있는 다른 사람들은 어떨까. 그분들은 나보다도 두려움이 더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회사 일을 마무리하고 인수인계를 하느라 많은 분들의 얘기를 듣지 못했다.
'이제 회사를 그만두고 나의 길을 떠난다'는 퇴직 인사 메일을 지인들께 보내자마자 많은 답장을 받았다. 대부분 축하와 격려의 인사말이었는데, 공통적으로 시작하는 말은 "회사를 떠난다니 부럽다"였다. 나와 함께 떠나고 싶지만, 같이 떠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까워 그렇게 표현했으리라 생각하고 있다. 회사에서 좀 더 큰 뜻을 펼쳐보겠다는 분을 제외하고 대다수가 그런 부럽다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비록 나에게 스트레스를 주기도 했지만 세상에 대한 파도로부터 나를 지켜주기도 했던 곳, 바로 그곳이 직장이라는 울타리였다. 직장은 하루하루를 견뎌내기 힘든 퍽퍽한 곳이면서도, 떠나기 쉽지 않은 둥지인 셈이었다. 이를테면, 나에게 건강검진을 제공하고 신용카드 발급 자격을 부여해주는 둥지였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내가 몇 살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 생각해 봤을 것이다. 실제로 아래 신문기사를 보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평균 50세 정도면 퇴직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정년퇴직 나이가 60세임을 고려하면 회사를 떠날 시기를 10년이나 앞당겨 보는 셈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남녀 직장인 1405명을 대상으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몇 세까지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가'라고 설문한 결과, 직장인들은 자신의 퇴직 연령을 평균 50.9세로 예상했다. (중략)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이들은 퇴직 연령을 평균 53.1세로 예상해 다른 직무보다 오래 일할 것으로 보고 있었다. 생산·기술직(52.8세)과 영업·영업관리직(51세), 재무·회계직(50.2세)도 퇴직 예상 시기가 늦은 편이었다. 반면 인사·총무직(49.7세), 마케팅·홍보직(49.4세), 기획직(48.6), IT·정보통신직(47세), 디자인직(47세)은 50대 이전에 회사를 나갈 것이라고 봤다. 응답자의 66%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라고 답했다. '정년 때까지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10명 중 2명(18.6%)도 되지 않았다. - 조선일보 2016. 6. 1"
내가 다녔던 IT계열 회사에 위의 기사를 참조해 보면, 50대가 되기도 전에 회사를 나올 것이라 예상하는 분위기였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나오기 전날까지도 나와 얘기 좀 나누자는 분들이 많았는데, 그분들도 언제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지 불안해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정년까지 채울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었고, 그럼에도 현재의 '직장인' 신분을 대신할 대안은 찾지 못하고 있었다. 새롭게 바꿀 직업을 찾지 못한 이유를 물어보니, 지금 당장의 회사 일이 너무 바빠서 생각해 볼 여유가 없기 때문이었다. 즉,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 이외에, 내가 할 수 있는 다른 일을 모른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말을 곰곰이 곱씹어 보면 '하고 싶은 일이면서 지금의 수입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이면서도, 경제적 여유는 그대로 유지되거나 더 늘어야 했다. 심지어, 자신이 지금의 직장을 벗어나면 돈을 한 푼이라도 벌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갖기도 했다.
내가 회사를 떠난 지 1년이 지난 지금도 옛 동료와 가끔씩 연락을 주고받는다. 나 자신은 지난 한 해가 어떻게 갔는지도 모르게 1인 기업가로서 역동적인 삶을 살았으나, 회사 안의 삶을 얘기 들어보면 내가 예상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내가 다녔던 당시와 비슷한 일들이 1년 동안 반복되었고, 그러다 보니 동료들과의 대화는 어제 만난 사람들처럼 익숙한 느낌이 들었다. 어찌 보면 회사 안의 시간은 느리게 흘러가고, 회사 밖의 시간은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아인슈타인 상대성원리처럼 보였다. 회사 안에 있을 때는 나도 그 반복되는 흐름에 있었기 때문에 매년 똑같은 삶이라는 것을 잘 몰랐는데, 회사 밖에서 동료를 보니 둥지 안과 밖의 삶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회사로부터 독립한 이후에 내가 제일 먼저 한 일은 나의 명함을 만드는 것이었다. 회사원에게 명함은 자신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었다. 그 얇은 종이 한 장이면, 상대방에게 내가 누구이고 무슨 일을 하는지 설명하는 게 어렵지 않았다. 그런데, 회사를 나오는 순간, 나의 역량과 기술은 달라진 게 없는데도 회사에서 가졌던 명함은 더 이상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내가 직장인으로서 외부업체와 미팅을 할 때 내미는 명함은 원래 내 명함이 아니었다. 그 명함에 쓰여 있는 세 글자 이름은 회사의 상황에 따라 내가 아닌 어느 누구로도 바뀔 수 있었다. 내 후배의 이름이 그 이름을 대신할 수도 있었다. 나는 회사의 명함을 빌린 것뿐이었고, 마주 앉은 업체 입장에서는 업무상 파트너를 만나고 있을 뿐이었다.
나는 회사에서 만든 명함을 한 번도 다 써본 적이 없었다. 몇 년에 걸쳐 반을 채 쓰기도 전에 부서나 연락처가 바뀌어 새로운 명함을 신청했다. 그런데, 1인 기업이 되니 처음 만나는 분들께 우선 명함을 드리면서 인사를 드리게 되었고, 채 1년이 지나지 않아 다섯 통 이상의 명함을 만들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명함을 만들 때마다 내용이 늘 바뀌는 것이었는데, 명함을 만들 때마다 고심을 거듭했다. 왜냐하면, 직장인 시절에는 부서명과 연락처만 바꾸어 왔지만, 이제는 명함을 통해서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쉽게 설명드려야 했다. 그러다 보니, 새로운 아이디어나 아이템을 명함에 반영해야 했고, 때로는 내 명함을 보시고 직접 조언을 주시는 분들도 많았다. 하지만, 명함이 바뀔 때마다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이 점점 더 명확해지며 자신감이 더 솟아오르는 느낌을 받았고, 이 명함은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바로 나만의 명함임을 깨닫게 되었다.
시중의 자기계발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조언 중의 하나는 '급한 일보다는 중요한 일을 하라'는 얘기다. 회사 업무에 적용되는 얘기지만, 나는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똑같다고 생각한다. 지금 당장 급한 회사일 때문에, 나의 미래를 계획해 보는 것과 같은 중요한 일의 순서가 밀리면 안 된다.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그런 것은 쓸데없는 고민이라 생각하고 더 열심히 회사일에 매달리기도 한다. 이를테면, 우리는 이미 성장을 마친 어른이지만, 직장이라는 둥지를 떠나지 못한 어린 새와 같다. 언젠가 떠나야 할 곳임을 알고 있지만, 내가 둥지 밖으로 날 수 있을까 두려움을 갖고 있다. 태풍이 몰아쳐 어쩔 수 없이 둥지 밖으로 내몰리기 전에, 내가 먼저 힘차게 날아볼 준비를 해보는 건 어떨까.
[3줄 요약]
- 직장이라는 둥지는 안락한 곳이지만, 언젠가는 떠나야 할 곳이다.
- 회사일이 바쁘다는 이유로 나의 미래 계획을 미루면 안 된다.
- 내가 하고 있는 일의 의미가 명함에 어떻게 담겨있는지 생각해 보자.
※ 이번 글은 예전에 올렸던 글에서 약간 부족했던 내용을 보완한 글입니다.
# 이전 글 - 18. 직장인의 자기탐색 - 강점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