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lato Won Dec 12. 2018

21.백성을 사랑한 묵가 사상

제자백가의 주요 사상 중 묵가 사상은 백성을 중심 축에 ᆢ

임효 作ᆢ사미정,수제한지,수묵,채색
묵가

권력과 차별적 사회 질서에 대항했던 묵자,이런 탓에

묵자는 오랜 시간 금기의 사상가다.춘추전국시대에

사랑과 평화,평등을 이야기한 묵자는 위정자들의

논리와 유가사상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그리고 백성 속으로 뛰어들어 묵가사상이 지닌

합리성과 효율성을 행동으로 증명했다.


그와 대척점에 있던 맹자마저 "묵가는 머리끝부터

발뒤꿈치까지 모두 닳아 없어진다 해도,천하를 이롭게

한다면 기꺼이 한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묵가는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하였던 제자백가의 한

학파로,묵자를 시조로 하며,전국시대에 활약하다가,

진시황의 통일 이후 홀연히 사라졌다.


묵가는 유가ㆍ도가와 동시대에 출현하여 발전되었고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 주요 네 철학 학파인
유가 묵가 도가 법가 중의 하나였다.

이 시기에 묵가는 유가의 주요 경쟁 상대였다.


묵자는 노동자 계층의 사람이었다.묵자는 당시 시대를

주름 잡는 사람들이 제후나 대부들과 같은
지배자들이고,학문 역시 이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유가에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인 仁은 사랑을 중심으로

삼았지만,임금,주인,남자 등은 귀하고,백성,하인,여자들

은 비천하다는 생각이 밑바탕에 녹아 있다.


묵자는 이러한 유가의 가르침에 반대하여 사랑에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한다.또한 묵자는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공격하고,강한 자가 약한 자를
못 살게 굴고,귀한 자리에 있는 자가 미천한 자리에
있는 사람을 함부로 부리는 것은 사람들이 차별적인
사랑을 하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세상의 중심이 임금이나 제후 그리고 대부들
에게 있었던 시대에는 묵자의 가르침이 쉽게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결국 힘없는 백성들을 대변하는
묵자의 사상은 진나라에 의한 통일의 기운이 무르
익으면서 약해지기시작했고,통일 이후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묵가의 사상은 겸애설이다.

겸애는 조건없이 사람들 전체를 사랑하고 서로
이롭게 하는 것이다.하늘의 뜻이 바로 겸애이고,
하느님은 겸애의 화신이다.


交相利,서로를 이롭게 한다는 사상으로 근면한
노동으로 물자를 생산할 것과 쓰임의 절약과 검약인
節用을 주장하였다.


또한 유명한 사상으로 인재 등용론인 상현 尙賢 과

공격 전쟁의 반대인 비공 非功 사상을 주장하였다.

상현이란 기회균등을 통한 인재 등용후 불평등 발생은

인정하는 묵자의 인재 등용 사상을 말한다.


또한 묵자는 체험을 근본으로 하여 사물의 본질을

추론하는 논리적 사고를 중국에서 최초로 창시한

사상가로 평가 받고 있다.


묵자는 총 71장으로 구성되었으나,현존하는 것은

53장뿐이다.11장 정도는 전쟁 방법과 군사적 기술들을

다루고,6장은 논리,윤리,과학들을 다룬다.


묵자는 분쟁이 발생시 해결하는 원칙으로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호혜성의 원칙,불침해의 원칙

최소 수혜자의 이익 극대화의 원칙을 제시한다.


이런 원칙들을 감독할 기관으로 절대적 정치권력인

천자가 이를 감독하며,천자는 하늘이 감독한다.

하늘의 뜻은 천하의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며 자신들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을 바람직한 일로 치하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아래로 부터의 혁명,묵가의 사상은 17세기 짐이 곧

국가다 라는 사상을 타파하고 나타난 홉스,로크,루소의

사회계약설 사상과 일치한다.


역사는 커뮤니케이션이고 그 툴은 단순해야 하며

그 흐름은 위에서 아래로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방향을 아래에서 위로 백성의 목소리가 전달되는 흐름으로

흘러왔다.


묵자의 사상은 힘없는 백성들을 중심에 둔 사상으로

오늘날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가치관과 닮아 있어

다시 주목 받지 않겠는가?


나는 유가사상 보다는 노가사상이나 묵가사상에

더 마음이 가는 것은 왜 일까?



Plato Won



인문학과 추상화의 만남..

Easy 人文Art 

 

ㆍ노자 도덕경 28과 중

 

1.노자의 도덕경을 통해 세상이치의 妙함을 깨닫는다  

2.인위적인 禮인가?無爲自然인가? 

3. 가는 사람은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노자

4.노자 도덕경의 핵심 세 가지 사상 

5.道란 황홀할 뿐 무어라 말할 수 없다 

6.노자의 무위자연과 비틀즈의 Let it be 

7.無가 있으니 有가 빛나는 것을   

8.그윽한 德은 겸손하나 그 깊이는 하늘을 찌르니   

9.노자는 관점 디자이너,그 이면을 봐라 

10.和光同塵,聖人는 드러내지 않는다

11.우둔하고 멍청한 노자 

12.道는 나의 어머니와 같은 모습 

13.無爲하는 군주 

14.진실로 현명한 자는 修己安人을 실천하는  

15.욕심이 과하면 滅을 재촉한다 

16.부드러움은 강함을 이긴다 

17.하나를 얻음으로 開天한다 

18.道는 이름이 없고 순박하다 

19.道의 세 가지 德性 

20.하늘의  

21.백성을 사랑한 묵가 사상 

22.노자의 無爲自然과 공자의 仁ㆍ禮ㆍ義 

23.손자병법에도 노자가 숨어있네 

24.동양의 마키아벨리 군주론 韓非子 

25.노자는 왜 自然을 강조했을까? 

26.노자와 장자 그리고 플라톤 

27.노자의 도덕경과 경영 

28.노자와 Parallax Thinking 

 

 

Plato Won 브런치 홈으로


작가의 이전글 인문고전은 읽는 게 아니라 써 먹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