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말을 걸어 글로 쓰는 이야기
우연한 유튜브 청취로 시작한 <Person의 정의에는 민주주의가 축적되어 있네요>쓰기 이후에도 흥미와 호기심이 아직 남아 계속 풀어봅니다.
이제는 위키피디아 설명 본문은 인용하지 않고 DeepL한 다발말[1]만 인용합니다.
인격성, 즉 어떤 존재를 사람으로 간주하게 만드는 요소에 대한 질문 외에도 개인의 정체성과 자아에 대한 질문, 즉 무엇이 특정 사람을 다른 사람이 아닌 특정 사람으로 만드는지, 무엇이 개입된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 때 어떤 사람을 다른 때와 동일한 사람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질문이 더 있습니다.
다발말을 읽으면 몇 가지 생각이 흐릅니다. 순서대로 따라가면 '인격성, 즉 어떤 존재를 사람으로 간주하게 만드는 요소에 대한 질문'까지 보았을 때, 가장 먼저 <한국사람에게 사람이란?>을 썼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래서, 다시 찾아보고 당시 상당한 충격을 받았던 한국말 사람 정의를 다시 마주합니다.
한국말에서 사람은 ‘살다’, ‘살리다(살+리+다)’에 바탕을 두고 있는 말이다. 사람은 온갖 것이 가진 살리는 힘을 살려서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임자를 말한다.
더불어 지난 시간에 그린 그림도 가져다가 비교해 봅니다. 확실히 '살리는 힘'이란 정의는 서구의 Person 정의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최봉영 선생님 주장에 따르면 확실히 한국말에 보이는 고유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서구의 정의와 최봉영 선생님의 정의를 견주어 보는 방식을 '문화상대주의적 시각'[2]이라 칭하고, Person에 대한 풀이를 마칠 때까지 가급적 그 입장을 지속해 보겠습니다.
다시 '개인의 정체성과 자아에 대한 질문, 즉 무엇이 특정 사람을 다른 사람이 아닌 특정 사람으로 만드는지'로 이어가면 <한국사람에게 사람이란?> 후반부에 인용한 다발말을 머릿속에서 떠오릅니다.
한국사람은 이것과 다른 것이 함께 할 때, 함께 함의 잣대가 되는 이쪽이 나름의 줏대를 갖고서 다른 쪽과 함께 하는 경우에, 나름의 줏대를 가진 이쪽을 ‘임자’라고 부른다. ‘임자’는 ‘님자=님+자’로서, 이쪽이나 저쪽으로서 함께 하는 어떤 것이 나름의 줏대를 갖고서 함께 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계속해서 '무엇이 개입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에 도달하면 다층적으로 작용하는 인식의 체계가 떠오르고 습관적으로 인용했던 욕망 벤다이어그램(?)이 절로 떠오릅니다.
다음 그림을 함께 보면서 풀어봅니다. 줏대(자의식)와 잣대(의식, 도덕성, 이성)를 가진 나는 벤 다이어그램 속의 체계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아래 그림의 하위 요소들을 구현합니다.
그리고 포기말 마지막의'한 때 어떤 사람을 다른 때와 동일한 사람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질문이 더 있습니다.'에 도달하면, 위 그림들에 시간 축을 더하게 됩니다. 놀랍게도 며칠 전에 썼던 <시공간과 순간 그리고 임자와 일됨이라는 인식>과 많은 부분 겹칩니다. 시공간(時空間) 정의를 다시 인용할까요?
『물리』 보통 삼차원의 공간에 제사차원으로서 시간을 가한 사차원의 세계. 민코프스키는 이 사차원의 세계를 생각함으로써 상대성 이론의 여러 관계가 수학적으로 간단하게 정돈된 형식으로 나타남을 가리키고, 시공 세계의 관념이 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사차원 공간, 사차원 세계, 시공 세계, 제사차원 세계.
그리고, 제가 '한국말 인식 모형'이라고 이름 붙인 그림도 가져옵니다. 또 질문이 만들어집니다. 인식은 이성과 의식을 조합일까요? 이 질문은 잠시 접어두겠습니다.
인식은 연속처럼 펼쳐지는 삶에서 주관적으로 점을 정의하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점을 선으로 연결하면, 시공간 속에서 벌어지는 앞서 말한 작용을 '일상'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또다시 최근에 풀어본 <내 일상을 차릴 알고리듬을 상상하다>와 만납니다.
다시 위키피디아로 돌아가 Person 정의의 다음 다발말을 보겠습니다.
복수형 '사람'은 종종 전체 국가나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민족'에서처럼), 이것이 이 단어의 원래 의미였으나 이후 복수형 '사람'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복수형 '사람'은 철학적, 법률적 글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eople은 원래 어원이 달랐군요. 철학 강의에서 박구용 교수님이 항상 추적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낱말의 뜻을 깊고 넓게 묻고 따지는 일의 소중함>을 쓸 때 배운 최봉영 선생님의 가르침과 부합합니다. 애초에는 부족 형태로 발달한 인간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었을 텐데, 사회가 국가 형태로 표준화되면서 벌어진 현상이라고 짐작해 봅니다. 그리고 마지막 포기말에서 박구용 교수님이 다시 재산 소유권을 중심으로 Person 정의를 풀었던 배경을 깨닫게 합니다.
법과 사회 철학의 발달 과정에서 인권 개념이 발달하면서 Person 정의에 있어 중요한 축이 되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1] <한국말 말차림법>에서 제안한 구절에 대한 토박이 말입니다. 왜 다발말인지는 <언어에 대한 일반이론>에서 일부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커피에 스며든 나, 그들이 뭐라 하든 자신이 되어라> 중간에 있는 다발말인 '지난 7년, 문화상대주의를 익히다'에 그 의미를 정의합니다.
9. 야신이 거북이에게 배운 자신의 프로세스를 만드는 법
11.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13. 바탕이 되는 기본, 바탕을 닦는 기초 그 위에 첨단
15. AI 시대에는 수능보다 덕후
18. 인공지능을 Linguistic Self 동료로 활용하기
19. Realization(실체화)와 나의 지난 24년